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국가기념식 모아보기
본문

KTV 국민방송

10명 중 9명 "동해, 국제명칭 바꿔야"

국민리포트 토요일 10시 50분

10명 중 9명 "동해, 국제명칭 바꿔야"

등록일 : 2015.07.22

앵커>

우리 국민 10명 중 9명은 현재 '동해' 의 국제적 명칭인 'East Sea'를 'Sea of Korea' 또는 'East Sea of Korea'로 바꿔야 한다고 답했습니다.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전문가들의 의견을 김순아 국민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사내용]

독도가 있는 동해.

명백한 우리 땅이지만 세계지도에서는 아직도 우리땅임을 입증하는 제 이름을 가지지 못하고 있습니다.

'일본해 Sea of Japan'으로만 표시돼 있거나 그저 'East Sea'로 병기돼 있는 상태입니다.

동해의 국제 명칭 'East Sea'란 이름 대신 새 영문 이름을 찾아야 한다는 움직임은 최근 여의도 국회의원회관에서 열린 학술토론회에서 처음 제기됐습니다.

국립공주대 임은진 교수는 '현행 동해 명칭에 대한 대국민 의식조사'란 주제발표에서 우리나라 국민 10명 가운데 9명이 동해 영문 명칭을 바꿔야 한다는 의견을 제시했다고 주장했습니다.

임 교수는 전국 3700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서 조사대상자 89%가 동해 명칭을 국내적으로는 '동해' , 대외적으로는 'Sea of Korea' 즉 '한국해' 또는 ' East Sea of Korea' '한국동해'로 바꿔야 한다는 의견을 제시했다고 밝혔습니다.

학술 토론회 참가자들은 동해가 '일본해'로 국제명칭이 새로 표기된 것은 일제 강점기 때인 지난 1929년 국제수로기구'IHO' 결정 후 부터라며 역사적 정당성이 없다고 주장했습니다.

인터뷰> 이돈수 소장 / 한국해연구소

"서양고지도 수천 점에서 '동해'라는 명칭은  7~8% ,80~90 %가 '한국해'나 '한국만'으로 표기돼 있습니다. 19세기 중반 되면서 한국해로 표기되었던 것이 일본해로 대치되고…"

유의상 / 동북아역사재단 표기명칭대사

"1992년 당시에 이미 우리는 East Sea란 명칭을 가장 많이 쓰고 있었습니다. 해외 홍보책자에 이미 East Sea란 표현을 가장 많이 쓰고 있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대형백과 사전이나 아메리칸 백과사전에도 우리가 흔히 참고로 쓰고 있는 백과사전에도 East Sea가 들어있었습니다. 역사적으로 우리가 과거의 고지도를 볼 때는 East Sea란 표현이 거의 없는 게 아니냐는, 이 역사성도 없는 표현을 어떻게 쓰냐…이런 문제들이 제기됐었어요. 외교교섭상의 문제로 생각해야합니다."

지난 20여 년 동안 우리 정부는 '동해'를 영문 명칭 'East Sea'로 유지해 오면서 새 이름을 찾는 노력에는 별다른 노력을 해오지 않다 최근들어 우리 이름을 가져야 한다는 움직임이 정치권에서 고개들고 있는 실정입니다.

인터뷰> 이상일 / 새누리당 국회의원

"'동해' 영문표기를 'East Sea of Korea'로 해달라고 지난해 1월 버지나이주 상원의장에게 영문편지를 보낸 적이 있고, 국정 감사때 질의도 했습니다."

인터뷰> 나평순 / 서울여고 교사

"우리는 글로벌시대를 살고 있고 세계적 위상이 높아졌기 때문에 '동해'보다는 한국 위상을 알릴 수 있는 확실한 그런 이름으로 바꿔야 할 시기가 왔다고 생각합니다."

광복 70주년을 맞아 동해 'East Sea' 의 제이름을 찾는 국민적 노력도 필요해 보입니다.

국민리포트 김순아입니다.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