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국가기념식 모아보기
본문

KTV 국민방송

북미 '밀당' 계속 조기정상회담 승부수 전망은?

생방송 대한민국 1부 월~금요일 10시 00분

북미 '밀당' 계속 조기정상회담 승부수 전망은?

등록일 : 2018.10.25

임보라 앵커>
마이크 폼페이오 미국 국무장관의 지난 6일 4차 방북 이후 보름이 넘도록 북미 간 협상이 이뤄지지 않고 있습니다.
비핵화와 상응조치를 주고받기 위한 북미 양측의 셈법이 한층 복잡해졌기 때문인데요,
서울 스튜디오에 나와 있는 전문가와 함께 자세한 이야기 나눠봅니다.
명민준 앵커!

(출연: 조한범 / 통일연구원 선임연구위원)

명민준 앵커>
2차 북미정상회담 개최 가능성이 내년 1월 1일 이후로 제기되고 있는 가운데 그동안 2차 북미정상회담에 적극성을 보여온 북한이 실무회담이나 고위급 회담에 아직 확답을 내놓지 않고 있는데요, 그 이유와 현재상황 어떻게 보십니까?

명민준 앵커>
미국 입장에서 보면 이번 중간선거 이전에 트럼프 행정부가 유화적인 대북제스처를 취하기는 어려운 상황 아니겠습니까?

명민준 앵커>
이에 따라 김정은 위원장이 정상회담 조기 개최를 위해 비핵화와 관련한 보다 구체적 조치를 미국에 제시하게 될지, 북한의 승부수 던지기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는데요, 어떻게 전망하십니까?

명민준 앵커>
한편 올 연말 대형 외교 이벤트들을 앞둔 김정은 위원장의 행보도 관심입니다.
당장 김 위원장의 러시아 방문이 초읽기에 들어간 모습인데요, 시점은 어떻게 예상하십니까?

명민준 앵커>
미국과의 비핵화 협상 및 2차 정상회담이 성사될 경우 북한으로썬 러시아가 주요 경제 협력 대상국이 되니 관련 대응 방안에 대해서도 논의가 될 것 같은데요?

명민준 앵커>
대북제재 완화를 촉구하는 북한과 중국, 러시아의 공동성명이 북한의 요청으로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공식문서로 채택됐습니다.
관련 내용과 예상 파급력 짚어주신다면요?

명민준 앵커>
한편 유엔에서 남북 정상회담과 북미 정상회담 등 잇딴 정상회담들 후 발표된 성명에 북한 인권문제가 포함되지 않았음을 우려하는 입장을 내놓았습니다.
관련 내용 짚어주신다면요?

명민준 앵커>
그래서 더더욱 이번 교황 방북이 성사될 경우 북한 인권 이슈도 새로운 전기를 맞게 되지 않을까 싶은데, 어떻게 보십니까?

명민준 앵커>
한편 미국 국무부가 북한이 비핵화에 빨리 도달할수록 제재도 빨리 완화될 수 있으며 비핵화에 실패할 경우 대북제재를 완전히 유지하겠다는 입장을 재확인했습니다.
대북제재에 대한 미국의 입장 표명, 어떻게 보십니까?

명민준 앵커>
이제 남북 교류 현안을 짚어보겠습니다.
개성공단 기업인들이 방북해 공장 시설을 둘러보는 방안이 추진되고 있습니다. 어제 통일부에서 관련 내용 브리핑이 있었는데요,
하지만 개성공단 재가동과는 무관하단 입장이죠?

명민준 앵커>
남북 군사공동위 구성을 앞두고 공동위원장 선임 문제가 주요 관심사입니다. 누가 후보로 거론되고 있습니까?

명민준 앵커>
26일에 열릴 남북 장성급 군사회담에서 군사공동위 구성을 포함한 현안들이 논의될 전망입니다. 특히 서해 NLL을 두고 논란이 지속되고 있기 때문에 이 현안도 중요한 비중으로 포함되겠죠?

명민준 앵커>
북미정상회담을 둘러싼 북미 간 팽팽한 기 싸움이 계속되고 있는 가운데, 우리 정부의 남북교류 과제 등 마무리 말씀 부탁드립니다.

명민준 앵커>
지금까지 조한범 통일연구원 선임연구위원과 함께 이야기 나눴습니다.
고맙습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