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본문

KTV 국민방송

접경지역 방역 강화 아프리카 돼지열병 유입차단 과제는?

생방송 대한민국 1부 월~금요일 10시 00분

접경지역 방역 강화 아프리카 돼지열병 유입차단 과제는?

등록일 : 2019.06.05

임보라 앵커>
중국을 비롯한 동아시아 각국으로 퍼진 아프리카돼지열병이 북한에서 발생하면서 정부는 최고 수준의 방역태세를 가동했습니다.
아프리카돼지열병 현황과 함께 유입 차단 과제 살펴보겠습니다.
스튜디오에 엄길운 한국양돈수의사회 임상부회장 나왔습니다.

(출연: 엄길운 / 한국양돈수의사회 임상부회장)

임보라 앵커>
시청자들의 이해를 돕기 위해 먼저 아프리카 돼지열병 바이러스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어떤 바이러스이고 감염 증상은 어떠한가요?

임보라 앵커>
아프리카 돼지열병의 무서운 점이라면, 돼지 폐사율이 높고 전염성이 강하다는 것인데요.
어떤 정도인가요?

임보라 앵커>
이 아프리카 돼지 열병이 북한에서 발병했다고 하는데요.
북한지역의 방역 상황, 괜찮을지 의문입니다.
어떨 것으로 짐작하십니까?

임보라 앵커>
이에따라 정부는 접경지역 10개 시군을 특별관리지역으로 지정했습니다.
이것이 어떤 조치인지 먼저 짚어주시겠습니까?

임보라 앵커>
정부는 또한 생석회를 뿌려 차단 벨트를 구축하고 있는데요, 어떤 효과가 있는 조치입니까?

임보라 앵커>
북한과 인적 교류 등이 많지 않은 만큼 접경지역에서 중요한 것은 야생동물을 통한 전염 예방인 것 같은데요, 관련 대책 어떻게 보십니까?

임보라 앵커>
한편, 중국에서 직접 아프리카돼지열병이 전염될 가능성 또한 계속해서 주시해야 하는 상황입니다. 최근 중국인 관광객의 자국산 축산가공품 반입이 또 다시 적발됐죠?

임보라 앵커>
가공된 축산물도 바이러스를 옮길 가능성이 높은 건가요? 특히 주의해야 할 제품이 있다면
무엇입니까?

임보라 앵커>
관련해서 정부는 아프리카 발병국 고기불법 반입 시 과태료를 인상했는데요, 국경 검역의 과제는 어떻게 보십니까?

임보라 앵커>
아프리카돼지열병은 현재 치료약이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요, 단기간 내 개발 가능성도 적은 상황인가요?

임보라 앵커>
아프리카돼지열병이 이미 맹위를 떨치고 있는 중국, 베트남 등의 국가는 어떠한 상황인지, 해당 국가들의 경우 어떤 조치를 취하고 있는 것인지도 궁금합니다.

임보라 앵커>
또 이 국가들의 돼지 폐사가 미칠 돼지고기 가격 등의 전세계적 영향은 어떨지도 짚어주시겠습니까?

임보라 앵커>
일각에서는 아프리카돼지열병에 대해서 정확한 정보 전달을 촉구하고 나섰습니다.
아프리카 돼지열병에 대해 사람들이 주로 오인하는 것들 바로잡을 부분이 있다면요?

임보라 앵커>
아프리카돼지열병이 국내에 유입될 경우 막대한 피해가 예상됩니다.
정부는 물론 범국민적인 차원의 대비가 필요한 상황인데요. 관련해서 마무리 말씀 부탁드립니다.

임보라 앵커>
지금까지 엄길운 한국양돈수의사회 임상부회장과 함께 이야기 나눴습니다.
고맙습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