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본문

KTV 국민방송

아프리카돼지열병 방역 상황과 돼지고기 소비 촉진 대책은?

생방송 대한민국 1부 월~금요일 10시 00분

아프리카돼지열병 방역 상황과 돼지고기 소비 촉진 대책은?

등록일 : 2019.10.29

임보라 앵커>
최근 3주 가까이 아프리카돼지열병이 발생하지 않은 양돈농가와 달리 야생 멧돼지에서 바이러스가 잇따라 검출되면서 멧돼지를 통한 추가 감염 우려가 점점 커지고 있습니다.
또 돼지고기 먹기를 꺼려하는 분위기가 번지면서 돼지고기 가격이 계속 떨어지고 있는데요.
서울 스튜디오 연결해 자세한 내용을 살펴봅니다.
명민준 앵커 나와주세요.

(출연: 정현규 / 한수양돈연구소 대표)

명민준 앵커>
야생멧돼지 아프리카돼지열병 확진 소식이 계속해서 전해지고 있는데요. 현재 상황은 어떤가요?

명민준 앵커>
아프리카돼지열병 야생멧돼지 폐사체 검출 건수가 기존 돼지 사육 농장 발생 건수를 앞지르면서 더 신속한 야생 수색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는데, 어떻게 봐야 할까요?

명민준 앵커>
앞서 언급한 것처럼 아프리카돼지열병이 국내 농가에서 마지막 발생일인 지난 9일을 기준으로 최대 잠복기를 넘겼다고 하는데, 소강 국면에 접어들었다고 볼 수 있을까요?

명민준 앵커>
국내 축산 농가의 확산이 지난 9일 이후 보고되지 않았는데요. 초기 대응에 성공했다고 봐도 될까요?

명민준 앵커>
하지만 유력한 감염 경로로 지목된 야생멧돼지에서 바이러스 검출이 계속되면서 야생 멧돼지가 확산 매개체가 되지 않을까 하는 우려의 목소리도 있는데요. 어떻게 보십니까?

명민준 앵커>
정부에서 최근 관련 긴급대책을 발표했는데요. 당장 오는 11월을 아프리카돼지열병 확산 고비로 보고 있다고 하는데, 왜 그런 건가요?

명민준 앵커>
정부에서 발표한 긴급 대책의 주요 내용도 함께 살펴보겠습니다. 먼저 경기와 강원 북부 접경지역을 4개 권역으로 나눠 멧돼지 이동을 차단하는 광역 울타리가 설치된다고 하는데, 어느 정도 효과가 있을까요?

명민준 앵커>
총기를 이용한 멧돼지 포획도 대폭 확대된다고 합니다. 총소리에 놀라 멧돼지가 달아날 가능성도 높은데, 이에 대한 대비책도 마련되었나요?

명민준 앵커>
아직 감염 경로가 명확히 파악되지 않은 거죠? 파악이 어려운 이유는 무엇인가요?

명민준 앵커>
아프리카돼지열병 백신도 치료법도 없다면 최고의 대책은 예방이 아닐까 싶은데요. 정부에서도 소독작업을 위해 힘쓰고 있는데, 어떻게 진행되고 있나요?

명민준 앵커>
아프리카돼지열병이 국내에서 발생한 후 돼지고기 가격이 급락하고 있다고 하는데, 어느 정도로 가격이 떨어졌나요?

명민준 앵커>
아프리카돼지열병이 사람에게는 무해한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여전히 인체 감염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있습니다. 돼지고기를 먹으면 안 된다는 얘기도 나오고요. 관련해 자세히 설명 부탁드립니다.

명민준 앵커>
국내산 돼지고기를 안심하고 먹어도 되는 또 다른 이유 어디서 찾아볼 수 있을까요?

명민준 앵커>
정부에서 돼지고기 소비 촉진을 위해 여러 대책을 마련해 추진하고 있는데요. 어떤 내용들이 추진되고 있고, 추가적으로 필요한 대책이 있다면 소개해주시죠.

명민준 앵커>
더 이상의 확산과 바이러스 전파를 막기 위해 어떤 노력을 해야 할까요?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