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본문

KTV 국민방송

연말정산 미리보기 서비스 이용하세요 [똑똑한 정책뉴스]

생방송 대한민국 1부 월~금요일 10시 00분

연말정산 미리보기 서비스 이용하세요 [똑똑한 정책뉴스]

등록일 : 2019.11.19

김유영 앵커>
올해도 어김없이 연말정산 시즌이 다가오고 있습니다.

연말정산은 13월의 보너스가 될 수도 있지만, 자칫하면 세금을 더 내야할 수도 있는데요, 그래서 올해 연말정산 세액을 미리 알아볼 수 있는 <연말정산 미리보기> 서비스가 10월 30일부터 시작됐습니다.

연말정산 미리보기 서비스는, 신용카드 등의 사용내역, 예상세액, 절세팁과 같은 정보를 사전에 알려줘 절세계획에 도움을 주는데요, 국세청 홈택스 홈페이지에서 공인인증서로 로그인 한 뒤 연말정산을 클릭하면 이렇게 연말정산 미리보기 창이 열립니다.

연말정산 미리보기는 총 3단계로 이루어지는데요, 1단계는 신용카드사로부터 수집한 1월∼9월분 결제금액을 사용처 별로 구분해 제공해주고, 10월∼12월 사용액과 총급여액을 입력하면, 소득공제액이 자동으로 계산됩니다.

2단계에서는 올해 총급여액과 먼저 낸 기납부 세액을 수정해줘야 하는데요, 수정 후 계산하기를 누르면 1단계 정보를 토대로 연말정산 예상세액이 계산되어 나옵니다.

3단계에서는 최근 3년간의 연말정산 결과를 비교할 수 있는 도표와 함께 올해 실제 세부담율에 대한 데이터를 제공해주는데요, 절세팁도 함께 알려줘 연말정산 준비에 큰 도움을 줍니다.

연말정산 미리보기와 함께 스마트폰으로 연말정산 정보를 간편하게 조회할 수 있는 <모바일 연말정산> 서비스도 동시에 개통했습니다.

스마트폰에서 홈택스 앱을 다운 받아 이용하면 되는데요, 연말정산 미리보기를 비롯해 중소기업 취업자 소득세 감면 명세서, 대화형 자기검증, 절세 주머니, 3년간 신고내용 등 다양한 콘텐츠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올해 7월 이후로 가족관계가 확인된 경우, 모바일에서 본인 인증만으로 부양가족 제공 동의 신청과 처리가 가능하도록 절차가 간편해졌습니다.

또한 올해부터는 박물관과 미술관 입장료가 신용카드 소득공제에 새롭게 추가됐습니다.

총 급여 7천만 원 이하인 근로자가 올해 7월 1일 이후 박물관, 미술관 입장료를 신용카드로 결제한 경우 30%의 소득공제율이 적용됩니다.

올해부터 산후조리원 비용도 의료비 세액공제가 가능해졌는데요, 총 급여 7천만 원 이하인 근로자라면, 산후조리원 비용을 출산 1회당 200만 원까지 의료비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습니다.

그리고 기부금액의 30%를 산출세액에서 공제하는 고액기부금 기준금액이 2천만 원에서 1천만 원으로 확대되었습니다.

또한 공제 한도를 초과해 공제받지 못한 기부금을 이월 공제하는 기간도 5년에서 10년으로 대폭 확대되었습니다.

올해부터는 5.18 민주화운동 부상자와 고엽제 후유의증 등 장애등급 판정을 받은 사람도 중소기업 취업자 감면 대상자에 새롭게 추가 됐습니다.

생산직에 종사하는 근로자가 받는 연장근로 수당은 비과세 대상인데요, 올해부터는 비과세 대상 월정액 급여 요건을 190만 원 이하에서 210만 원 이하로 완화하고, 비과세 적용 직종을 새롭게 추가했습니다.

무주택 또는 1주택 세대주인 근로자가 금융기관에 상환하는 주택저당 차입금 이자가 공제대상에 포함됩니다.

그리고 서민들의 주거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공제대상 주택의 기준시가 요건이 4억 원 이하에서 5억 원 이하로 완화됐습니다.

올해부터는 국민주택 규모보다 크더라도 기준시가 3억 원 이하인 주택을 임차하고 월세를 지급한 경우도 월세액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게 개선되었습니다.

지금까지 달라진 연말정산 제도를 설명해 드렸는데요, 더 자세한 내용은 국세청 홈택스 홈페이지 또는 연말정산 미리보기 상담 전화를 통해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지금까지 똑똑한 정책 뉴스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