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본문

KTV 국민방송

임신 중에도 육아휴직···자유롭게 분할 사용

KTV 대한뉴스 월~금요일 19시 00분

임신 중에도 육아휴직···자유롭게 분할 사용

등록일 : 2021.11.19

신경은 앵커>
앞으로는 임신 중인 근로자도 '육아휴직'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특히 필요에 따라 자유롭게 나눠 쓸 수 있습니다.
박천영 기자입니다.

박천영 기자>
'남녀고용 평등과 일·가정 양립 지원에 관한 법률'에 따라 만 8세 이하 또는 초등학교 2학년 이하 자녀를 둔 근로자는 육아휴직이 가능합니다.
공공기관과 일부 사업장에선 임신 중인 근로자에게도 육아휴직을 허용하지만 법적으로는 명확하게 규정이 없어 한계가 있는 상황.
관련 법률이 개정됨에 따라 앞으로는 임신 근로자도 원칙적으로 육아휴직을 쓸 수 있습니다.
남녀고용평등법 19조에, '임신 중인 여성 근로자가 모성을 보호하기 위해' 휴직을 신청하면 허용하도록 관련 문장이 추가된 겁니다.
이에 따라 임신 근로자는 휴직 시작일 30일 전 사업주에게 신청하면 되고 임신 중엔 필요에 따라 분할횟수 상관없이 자유롭게 육아휴직을 나눠 쓸 수 있습니다.
이와 함께 임신 근로자의 출퇴근 시간 변경 제도도 시행됩니다.
현행 근로기준법은 임신 12주 이내 또는 36주 이후 여성 근로자에 한해 하루 2시간 근로시간 단축 제도를 활용할 수 있도록 해, 임신 12주에서 35주 이내의 경우 출퇴근 시간 변경이 어려웠습니다.
때문에 혼잡한 대중교통 이용으로 건강상 피해 발생의 우려가 있는 상황.
이번 법률 개정으로 근로자는 업무시간 변경 개시 사흘 전 임신 확인 진단서를 첨부한 신청서를 제출해 출퇴근 시간을 변경할 수 있고, 사업주는 특별한 사유가 없는 한 이를 허용해야 합니다.

전화인터뷰> 윤종호 / 고용노동부 여성고용정책과 사무관
“임신 근로자의 건강을 지키고 경력단절의 걱정을 덜어줌으로써 행복한 임신, 건강한 출산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중략) 모성보호 관련 제도들을 자유롭게 활용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안내하고 사업주의 부담을 덜어줄 수 있도록 지원에도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임신 근로자 육아휴직과 출퇴근 시간 변경 제도는 내일(19일)부터 본격적으로 시행됩니다.
(영상편집: 진현기)

KTV 박천영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KTV 대한뉴스 (850회) 클립영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