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창한 가을, 주말이나 휴일에 가족과 함께 우리 문화유산을 찾는 분들이 부쩍 늘고 있습니다.
그만큼 우리 문화재에 대한 관심이 늘고 있다는 얘기일 것입니다.
익산미륵사지석탑 등 국보급 문화재의 복원사업에 중추적인 역할을 하고 있는 국립문화재연구소 김봉건 소장의 일과를 살펴봅니다.
기자>
대전에 위치한 국립문화재연구소.
지난 1969년 문화재연구소로 업무를 시작한 이곳 국립문화재연구소는 지난 37년간 우리문화 수호의 구심점으로 활동해왔습니다.
83년부터 이곳에서 일하기 시작한 김봉건 소장은 자타가 공인하는 우리나라 문화재 보건의 산 증인.
김 소장의 하루는 이른 아침 서재에서부터 시작됩니다.
요즘은 일본교과서 문제와 중국의 동북공정 등 주변국들의 역사왜곡에 대응하기 위해 서재에서 보내는 시간이 점점 길어지고 있습니다.
김 소장이 시간을 쪼개 자주 들르는 곳, 다름 아닌 보존과학 연구실입니다.
연구실에서는 고흥 길두리에서 발견된 유물에 대한 복원 작업이 한창입니다.
이어지는 일정은 국책사업의 일환인 부여 정림사지 복원사업에 대한 브리핑.
이 시간 만큼은 더 이상 평소의 자상한 김 소장이 아닙니다.
복원사업 일정에서 그 방법까지 세밀하고 꼼꼼하게 챙기는 김 소장의 실무파악 능력이 어느 때보다 돋보이는 순간입니다.
바쁜 일정에 밀려 점심도 거른 김 소장. 하지만 배고플 새도 없이 그의 발걸음은 계속됩니다.
아시아 최대 석탑인 익산 미륵사지석탑. 2001년부터 시작된 석탑 해체의 마무리 작업이 한창입니다.
1주일에 2~3번은 현장에 들른다는 김 소장은 고도의 전문성이 필요한 복원사업에서 가장 어려운 점은 다름아닌 전문인력 확보라고 토로합니다.
지난 20여년간 문화재 보전과 삶을 함께한 김 소장은 퇴직 후에도 문화재 보전사업에 참여해 그간 쌓아온 노하우를 후배에게 전하고 싶다는 작지만 큰 소망을 가지고 있습니다.
반만년의 문화유산을 자랑하는 문화강국 대한민국.
김봉건 소장과 같은 문화재 지킴이가 있는 한 앞으로도 유구한 전승은 계속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