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무현 대통령이 13일 후진타오 중국 국가주석과 정상회담을 가졌습니다. 북한의 핵실험 발표에 따른 공동대응방안이 집중 논의 된 것으로 전해지고 있습니다.
Q> 북한 핵실험 이후 대북 제제수위에 대한 논의가 진행되는 가운데 한중정상이 어떤 조율 결과를 내놓을지 주목되고 있습니다. 어떤 내용이 논의 됐습니까?
A> 노무현 대통령은 13일 하루일정으로 중국을 실무 방문해 후진타오 중국구가주석과 정상회담을 가졌습니다.
북한 핵실험이 긴급 현안인 만큼 두정상은 먼저 단독 정상회담에서 북한 핵실험 문제를 단일 의제로 유엔 안보리 결의안 채택 문제와 대북 제재 수위 등 공동대응방안을 집중 논의했습니다.
아직 회담 결과가 공식 발표되지 않아 자세한 내용이 확인되지는 않고 있지만 정부 당국자는 양국이 원하는 최대의 효과를 낼 수 있는 제재방식을 논의하기 위해 당초 30분이던 단독 회담시간을 15분 늘려 잡았다고 설명했습니다.
양국정상은 일정수준의 대북제재의 필요성에는 공감하지만 북한에 대한 대응이 압박과 제재로만 쏠리지 않도록, 대화와 제재를 병행하는 방안을 주로 논의한 것으로 전해지고 있습니다.
특히 군사제재에 대해 반대한다는 양국의 입장을 확인하고 공동의 노력을 기울인다는데 합의점을 도출 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Q> 두 정상의 만남이 이번사태의 중대 고비가 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죠?
A> 13일 회담은 대북 제재수위에 대한 관련국들의 의견이 엇갈리는 가운데 8일 중일 정상회담과 9일 한일 정상회담에 이어 열리는 한중일 3국의 마지막 양자회동이라는 점에서 북핵사태 전개과정의 중대한 분수령이 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미국이 대북 군사제재를 배제한 유엔 결의안 초안을 제출 한 것으로 알려지면서, 북핵실험 문제 해결의 실마리를 찾을 것으로 보입니다.
양국정상은 잠시뒤인 오후 3시 공동 기자회견이나 발표문의 형식을 갖추지 않고 각자 기자회견을 통해 북핵실험 문제에 대한 대응방안 등 회담결과를 밝힐 예정입니다.
Q> 13일 정상회담에서 중국의 역사 왜곡문제나 그 밖의 현안에 대한 논의는 없었나요?
A> 양국정상은 단독정상회담 후 이어진 확대정상회담에서 최근 한중간에 우려사항으로 떠오른 고구려 역사를 비롯한 동북공정 문제를 주요 의제로 논의했습니다.
이에대해 노 대통령이 강한 유감표명을 한 것으로 전해지고 있습니다.
이밖에도 한중교역문제와 한중일 3국 등 동북아 지역의 질서 정립문제 등이 논의됐습니다.
한중간 세 번째 정상회담이자 수교이후 첫 실무방문에 나선 노무현 대통령은 우방궈 전인대 상무위원장과 원자바오 총리를 각각 접견한 뒤 13일 저녁 귀국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