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국가기념식 모아보기
본문
일제 강점기 때 징용됐다가 사망한 희생자나 행방불명자 유족들에게 정부가 위로금 2천만 원을 지급합니다.

한명숙 국무총리는 12일 국무회의에서 이 같은 내용의 법률안을 의결했습니다.

기자>

일제 강제동원 기간 중 사망하거나 행방불명된 사람들의 유족들에게 정부가 인도적 차원에서 위로금 2천만 원을 지급하기로 했습니다.

장해를 입고 귀국한 희생자에 대해서도 그 정도를 고려해 2천만 원 내에서 위로금을 차등 지급합니다.

정부는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하는 일제강점하 국외강제동원 희생자 등 지원에 관한 법률안을 12일 국무회의에서 의결했습니다.

이 법안에 따라 강제 징용된 후 귀환한 생존자에 대해서는 사망시까지 의료비 중 일부를 정부가 지원합니다.

또 강제징용 때 받지 못한 임금도 현재 가치로 환산해 지급하기로 했습니다.

정부는 이 법안이 정기국회에서 통과되면 내년 하반기부터는 본격적으로 위로금을 지급할 계획입니다.

Q> 또 한 총리가 동북공정에 대해 유감을 표명했죠?

A> 한 총리는 중국의 고대사 왜곡 문제가 또 다시 불거진 것에 대해 매우 유감스럽게 생각한다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2004년 중국과의 구두양해가 실질적으로 이행될 수 있도록 외교적 노력을 기울이겠다고 밝혔습니다.

또 이 문제를 감정적으로 대응하기 보단 논리적이고 차분하게 대응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정부의 신중한 대응이 국민들에게 소극적이고 안일한 대처로 비춰지지 않도록 적극적으로 설명해달라고 당부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