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주산업 경쟁력 확보
-
윤석열정부 2주년···우주개발 선도국가 꿈꾼다
박성욱 앵커>정부의 핵심 국정과제인 우주항공청 출범이 벌써 10일 앞으로 다가왔습니다.우주개발 선도국가로 향하는 위대한 첫 걸음이 내디뎌지게 되는데요.오늘 이 시간에는 우주항공청의 출범, 그 성과와 앞으로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해 황호원 한국항공대학교 항공우주정책대학원장과 함께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출연: 황호원 / 한국항공대학교 항공우주정책대학원장)박성...
-
우주 탐사 경쟁 치열···27일 우주항공청 개청 [뉴스의 맥]
최대환 앵커>중국이 세계 최초로 달 뒷면의 토양과 암석 채취를 목표로 지난 3일 달 탐사선을 쏘아 올리면서 우주기술 경쟁이 더욱 뜨거워지고 있는데요.취재 기자와 함께 우주 개발 분야의 현주소를 살펴보겠습니다.이리나 기자, 우주기술 강국들의 도전, 정말 끝이 없는 거 같습니다.이리나 기자>맞습니다.그야말로 팽팽한 경쟁을 이어가고 있는데요.앞서 언급하신 대로 ...
-
초소형 군집위성 '네온샛 1호' 발사 성공···양방향 교신 확인
최대환 앵커>우리 기술로 개발해 우주로 발사된 초소형 군집위성 '네온샛 1호'가, 발사체 분리를 거쳐 최종 궤도에 성공적으로 안착했습니다.앞으로 3년 동안 한반도와 주변 해역을 정밀 감시하고, 국가안보와 재난재해에 신속하게 대응하는 임무를 수행하게 됩니다.김유리 기자가 보도합니다.김유리 기자>현장음>“5, 4, 3, 2, 1”(장소: 24일 오전 7시 32...
-
초소형 군집위성 '네온샛 1호'···위성 상태 양호
임보라 앵커>초소형 군집위성 '네온샛 1호'가 오늘(24일) 오전 7시 32분, 뉴질랜드 마히아에서 발사됐습니다.이 위성은 발사체와 성공적으로 분리됐는데, 오전 11시 57분경 지상국에 수신된 정보 분석 결과 위성 상태도 양호한 것으로 확인됐는데요.김유리 기자가 전해드립니다.김유리 기자>국내 최초로 양산된 '초소형 군집위성 1호'가 24일 오전 7시 32분...
-
국내 최초 '초소형 군집위성'···24일 우주 향한다
모지안 앵커>내일 아침 국내 최초의 초소형 군집위성 1호가 뉴질랜드에서 쏘아올려집니다.지구 관측 실용위성으로 국가안보와 재난 대응을 위해 한반도 주변을 정밀 감시하는 역할을 하게 되는데요.정부는 오는 2027년까지 총 10대를 더 발사한다는 계획입니다.김유리 기자입니다.김유리 기자>국내 최초로 양산된 '초소형 군집위성 1호'가 24일 오전 7시 8분 57초...
-
한미 '우주협력' 본격화···달 탐사 참여 논의
최대환 앵커>우리나라와 미국의 우주항공 분야 협력이 윤곽을 드러내고 있습니다.미국의 달 탐사 계획에 우리 기술을 접목하는 방안이 양국 간에 논의됐는데요.우리나라의 강점인 탈 것과 통신 기술이 미국 달 탐사에 활용될 가능성이 점쳐집니다.박지선 기자의 보도입니다.박지선 기자>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미국 항공우주청, NASA와 올해 한미 우주 분야 협력방안을 논의했...
-
우주항공청 설립 윤곽···"우주항공 컨트롤 타워 구축"
임보라 앵커>정부가 설립을 추진하고 있는 우주항공청의 청사진을 공개했습니다.내년 연구개발 예산은 7천2백억 원, 인력은 3백여 명으로 구성될 예정인데요.국가우주위원회 위원장을 대통령으로 격상하는 등 우주항공의 컨트롤타워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됩니다.김유리 기자의 보도입니다.김유리 기자>육·해·공 이후 제4의 전장으로 독자 기술력 확보가 더욱 중요해진 우주개...
-
우주항공청 설립·운영 기본방향 발표
우주항공청 설립·운영 기본방향 발표이종호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23. 07. 27. 09시)(장소: 정부서울청사 브리핑룸)
-
우주경제 발전 가속화 기대···우주항공청 설립 추진
윤세라 앵커>누리호 발사가 성공적으로 마무리되면서 우리나라 우주경제 발전에도 가속도가 붙을 것으로 기대됩니다.정부는 올해 안에 우주항공청을 설립하고 차세대 발사체 개발에도 나서는 등 우주산업 육성에 만전을 기한다는 계획입니다.김현지 기자의 보도입니다.김현지 기자>2021년 10월에 있었던 누리호 1차 발사.탑재체가 궤도 진입에 실패해 목표 달성은 이뤄내지 ...
-
300여 개 기업 참여···민간 우주개발시대 '성큼'
임보라 앵커>이번 누리호 3차 발사에는 우리 기업들의 우주항공 기술이 총집약돼 있습니다.엔진부터 크고 작은 부품 제작에 총 300여 개 기업이 참여했는데요.민간 우주개발 시대가 성큼 다가왔다는 평가가 나옵니다.박지선 기자입니다.박지선 기자>누리호 3차 발사에 참여한 기업들은 약 300곳에 달합니다.이번 발사에 처음으로 체계종합기업으로 참여한 한화 에어로 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