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3대 강국 도약
-
세계로 뻗어가는 '월드IT쇼'···해외 수출 교두보 마련
모지안 앵커>서울에서 막을 올린 '월드 IT쇼'에 아시아부터 유럽, 북미까지 17개국이 참가한 가운데 많은 인파가 몰리고 있습니다.우리 기업들도 뛰어난 기술로 해외 관람객들의 시선을 사로잡고 있다고 하는데요.해외 시장을 향한 새로운 발판을 만들어가는 현장을, 김유리 기자가 취재했습니다.김유리 기자>(장소: 서울 코엑스)부스마다 관람객들로 발 디딜 틈이 없습...
-
AI 기술 집합 '월드IT쇼'···물류 로봇·수어 인식 등 전시
모지안 앵커>국내 최대 규모의 ICT 전시회, '월드IT쇼'가 시작됐습니다.AI 기술을 중심으로, 혁신적인 기술들이 선보였는데요.사람이 하기 위험한 일을 대신해 주는 물류 로봇부터 수어 인식이 가능한 키오스크까지 등장했습니다.김유리 기자가 현장을 소개합니다.김유리 기자>AI 기반 자율주행 운반 로봇입니다.약 1.5톤까지의 적재물을 들어 올릴 수 있습니다.사...
-
인공지능 활용한 산업 혁신 방안은?
김용민 앵커>산업통상자원부가 AI를 활용한 기술개발을 적극 지원하며 연구개발 혁신을 가속화하고 있습니다.김현지 앵커>특히, 올해 AI 활용 연구개발 100여개 분야 과제를 지원한다고 하는데요.자세한 내용, 산업통상자원부 산업기술정책과 정권 과장과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출연: 정권 / 산업통상자원부 산업기술정책과 과장)김용민 앵커> 산업부에서는 최근 인공지...
-
제조업과 AI 융합으로 미래산업 주도권 확보
김용민 앵커>인공지능(AI)가 사회 전반을 혁신할 게임 체인저 기술로 자리 잡으면서, 주요 선진국들은 AI 주도권을 확보하기 위한 기술 경쟁을 벌이고 있습니다.김현지 앵커>이런 AI 패권 전쟁 속 한국 AI산업의 경쟁력과 생존 전략에 대해 서울 스튜디오 연결해 자세한 내용 살펴보겠습니다.박성욱 앵커.박성욱 앵커>인공지능(AI)가 사회 전반을 혁신할 게임 체...
-
위기와 기회 공존···AI 도입 대응방안은? [현미경]
김경호 기자>뉴스의 숨은 이야기까지 확대해 보여드립니다.오늘은 인공지능이 한국 경제에 미칠 영향을 알아보겠습니다.최근 급격한 기술 발전을 이룬 인공지능은 우리 사회에 위기이자 기회로 다가오고 있습니다.특히 빠르게 고령화가 진행 중인 한국에 AI 도입은 경제 성장의 새로운 기회가 될 것으로 보입니다.한국은행에 따르면 AI는 한국의 생산성을 3.2%까지 높이고...
-
"컴퓨팅 인프라 확충···국가 AI모델 개발 속도"
최대환 앵커>정부가 인공지능 세계 3대 강국 도약을 위한 전략을 추진합니다.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이 이 분야의 사령탑인 국가인공지능위원회를 열고, 세계 최고 수준의 인공지능 모델 개발을 위한 집중적인 지원을 약속했습니다.먼저 신국진 기자입니다.신국진 기자>제3차 국가인공지능위원회(장소: 20일 오전 10시, 서울 중구)AI 산업 발전을 위해 지난해 9월 출...
-
2027년까지 AI 활용률 50%···데이터 개방 확대
최대환 앵커>인공지능 분야의 기술력은 있지만 상대적으로 기반이 열악한 중소기업과 새싹기업들에 대한 지원도 강화됩니다.기술이 검증된 경우 대기업 수요와 연계해, 오는 2027년까지 인공지능 활용률을 50%까지 끌어올린다는 계획입니다.계속해서 박지선 기자입니다.박지선 기자>현재 국내 AI 기술기업은 2천3백여 곳으로, 절반 이상은 AI가 활용되지 못하고 기술 ...
-
'국가 AI 컴퓨팅 센터' 구축···올해 서비스 개시 목표
모지안 앵커>인공지능 3대 강국 도약을 위해, 정부가 민관 합작 투자로 국가 인공지능 컴퓨팅 센터를 구축합니다.올해 인공지능 컴퓨팅 서비스의 조기 시작이 목표인데, 첨단 인공지능 기술 주도권 확보의 중심축이 될 것으로 기대됩니다.김유리 기자가 보도합니다.김유리 기자>AI 대전환 시대, 첨단 반도체 기반 AI 컴퓨팅 인프라는 국가 핵심 기반입니다.그러나 AI...
-
AI 3대 강국 도약···'양자·첨단바이오' 주도권 확보
김용민 앵커>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올해 AI로 디지털 대전환을 추진하고, 과학기술을 통해 미래를 선도하는 데 주력합니다.김현지 앵커>AI 글로벌 3대 강국으로 발돋움하고, 양자와 첨단바이오 등 국가전략기술 주도권 확보에 집중할 계획인데요.김유리 기자가 보도합니다.김유리 기자>지난해 12월 유럽에 이어 전 세계 2번째로 'AI 기본법'을 제정한 대한민국.과학기...
-
국내 첫 'AI 안전연구소' 출범···"AI 안전 연구 허브로"
최대환 앵커>인공지능 기술의 발달로 합성된 영상 등을 손쉽게 만들 수 있다 보니 딥페이크 성범죄 같은 악용 사례도 늘고 있는데요.정부가 인공지능 안전연구소를 출범하고, 이곳을 대한민국 인공지능 안전의 허브로 만들겠다고 밝혔습니다.김유리 기자가 보도합니다.김유리 기자>(장소: AI 보안업체 '샌즈랩’ / 경기도 과천시)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의 사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