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3대 강국 도약
-
"AI 어렵지 않아요"···AI 교과서 맞춤 수업 체험
모지안 앵커>내년부터 인공지능 교과서가 학교 현장에 도입될 예정인데요.학생들이 인공지능을 쉽게 이해하고 체험해볼 수 있는 축제가 열렸습니다.인공지능을 활용한 수업을 체험해보고 디지털 역량을 키우는 현장을, 박지선 기자가 전해드립니다.박지선 기자>종이 책이 아닌 태블릿 PC를 앞에 둔 학생들이 화면을 보며 수업을 따라갑니다.인공지능과 IT 소프트웨어를 주제로...
-
교과서도 AI시대! 2025년 AI 디지털 교과서 도입 [클릭K+]
김현지 기자>한 교실에서 같은 내용을 가르쳐도 이해하는 수준은 학생마다 다를 텐데요.자주 틀리는 문제나 잘 안되는 영어 발음을 교과서가 알아서 인식해 집중보완 해주는 '맞춤형 학습지도'로 바뀐다면 어떨까요?AI, 인공지능을 활용한 '디지털 교과서' 얘기인데요, 내년부터 AI를 활용한 디지털 교과서가 학교 수업에 본격 도입됩니다.녹취> 이주호 / 사회부총리 ...
-
'국가 AI 연구거점' 출범···"AI 3대 강국 도약"
김용민 앵커>국내 대표 AI 연구 중심이 될 '국가 AI 연구거점'이 출범했습니다.국내외 연구진이 AI 국제 공동연구를 수행할 예정인데요.김현지 앵커>2028년까지 총 946억 원을 투입해, AI 3대 강국으로 도약하겠다는 계획입니다.김유리 기자입니다.김유리 기자>실외 자율주행 로봇 '뉴비', 주문 물품을 싣고 도로 위를 주행합니다.카메라로 주행 환경을 파...
-
AI 자율제조 선도프로젝트 공개···"제조업에 AI 입힌다"
모지안 앵커>산업통상자원부는 28일 'AI 자율제조 선도프로젝트 협약식'을 개최하고 올해 추진할 26개 프로젝트를 공개했습니다.반도체, 자동차 등 12개 업종을 중심에서 대기업부터 중소기업까지 참여하는 이번 프로젝트에는 총 3조7천억 원이 투입되며, 이중 정부와 지자체는 4년간 총 1천900억 원을 지원하게 됩니다.산업부 측은 이번 프로젝트를 통해 "생산성...
-
AI 디지털교과서가 만드는 새로운 교육 현장은?
김용민 앵커>내년부터 초중고등학교에 AI 디지털교과서가 쓰입니다.초등 3·4학년, 중1, 고1 학생에게 먼저 도입되는데요.김현지 앵커>디지털기술이 빠른 속도로 발전하고 있는 시대적 흐름 속 학생들을 위한 AI 디지털교과서, 고영종 교육부 책임교육정책실장에게 직접 들어봅니다.안녕하세요.(출연: 고영종 / 교육부 책임교육정책실장)김용민 앵커>AI 디지털교과서가...
-
국가인공지능위원회 출범 "AI 3대 강국 도약"
김용민 앵커>윤석열 대통령은 우리나라를 2027년까지 인공지능 3대 강국으로 도약시키겠다며 'AI 국가 총력전'을 선포했습니다.김현지 앵커>AI 정책의 구심점 역할을 할 공식 기구도 출범했습니다.이와 함께 국회 본회의를 통과한 개정 법안과 달라진 입시까지 한치호 수원대 공공정책대학원 객원교수와 이야기 나눠봅니다.안녕하세요.(출연: 한치호 / 수원대 공공정책...
-
윤 대통령 "2027년까지 AI 3대 강국 도약···'국가 총력전'"
최대환 앵커>대한민국 인공지능 산업을 진두지휘할 대통령 직속 국가인공지능위원회가 출범했습니다.출범식에 참석한 윤석열 대통령은 오는 2027년까지 우리나라를 인공지능 3대 강국으로 도약시킬 거라며, 국가 총력전을 선포했습니다.최영은 기자입니다.최영은 기자>국가인공지능위원회 출범식(장소: 26일, 포시즌스호텔 (서울 종로구))국가인공지능위원회 출범식에 참석한 ...
-
민간서 AI 65조 원 투자···조세특례 적극 지원
최대환 앵커>그 동안 다방면의 노력을 이어온 끝에 국가인공지능위원회가 첫 발을 내디뎠는데요.민간 부문에서 오는 2027년까지 65조 원 규모가 투자될 전망입니다.정부는 민간투자 활성화를 위해 조세특례 등 지원을 아끼지 않을 계획입니다.계속해서 이혜진 기자입니다.이혜진 기자>한국의 인공지능(AI) 경쟁력은 세계 6위.지난해 13위에 불과했던 프랑스가 정부 적...
-
한미 과학기술 동맹 강화···'글로벌 AI 프론티어랩' 출범
모지안 앵커>우리나라와 미국이 최고 수준의 인공지능 연구진을 공동으로 구성합니다.인공지능 연구개발의 교두보가 될 연구소를 미국 뉴욕에서 출범하고, 이를 국제공동연구 플랫폼으로 안착시킨다는 구상입니다.보도에 김유리 기자입니다.김유리 기자>(장소: 광주과학기술원)최근 국민에게 불안감을 안겨주고 있는 전기차 배터리 폭발과 열폭주 현상.이러한 사고를 예방할 수 있...
-
'AI 대표도시' 육성···미래차 핵심부품 전초기지 구축 [뉴스의 맥]
최대환 앵커>앞서 보신 것처럼 정부는 광주가 대한민국 성장을 견인하도록 인공지능 대표 도시로 육성한단 방침인데요.취재기자와 자세한 내용 알아보겠습니다.박지선 기자, 광주가 현재 인공지능 실증도시로 불리는데, 그동안 관련 인프라 구축 사업을 하나하나 진행했다고요?박지선 기자>네, 그렇습니다.정부는 광주에 2020년부터 인공지능 산업 융합 단지 조성을 추진해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