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국가기념식 모아보기
본문

KTV 국민방송

독립운동가 방정환 재조명···'모도가 봄이다' 특별전

국민리포트 금요일 11시 40분

독립운동가 방정환 재조명···'모도가 봄이다' 특별전

등록일 : 2019.03.22

이유리 앵커>
5월 어린이날하면 생각나는 사람은 아마도 이분이 아닐까요?
바로 소파 방정환 선생님입니다.
1919년 3월 1일 대한민국 만세를 외쳤던 독립운동가 중 한명이기도 한데요.
3·1 운동 백주년을 맞아 애국심이 남달랐던 소파 방정환 선생의 발자취를 돌아보는 '모도가 봄이다' 특별전이 열리고 있습니다.
그 현장을 정진명 국민기자가 다녀왔습니다.

정진명 국민기자>
국립어린이청소년도서관
(장소: 서울시 강남구)

초록·노랑·파랑·주황·보라 다섯 가지 색이 전시 공간을 가득 메웠습니다.
방정환 선생의 일대기와 유작들이 하나의 작품으로 꾸며진 겁니다.
이 연대기 표는 방정환 선생의 아동문학가뿐만 아니라 독립운동가 발자취와 활약상을 잘 보여주고 있습니다.
관람객은 타임라인을 따라가며 '조선독립신문', '개벽' 창간호에 실린 '모도가 봄이다', '어린이' 잡지 등의 역사자료를 보면서 방정환 선생의 발자취를 느껴봅니다.

인터뷰> 고은 / 서울시 송파구
"(방정환 선생님이) 어린이날을 만드신 분이라고만 알고 있었는데 (이번 전시를 통해) 독립운동하신 것을 알게 되었어요."

모도는 '모두'의 옛말로 '모도가 봄이다'라는 전시 제목은 '개벽' 창간호에 실린 '유범' 소설의 한 구절에서 따온 것입니다.
독립을 암시하는 문구라는 이유로 일제의 검열에 의해 삭제됐다 세상 밖으로 나오게 됐습니다.

인터뷰> 장정희 / 방정환연구소장
"유범이라는 소설을 통해 그 당시 학생들이 3·1 만세운동을 어떻게 비밀리에 준비했는지 그런 것들을 글을 쓰는 작가로서 표현했다는 뜻입니다."

어린이날 동요가 흘러나오는 가운데 펼쳐진 독립신문 나눠주기 등 체험과 놀이를 통해 어린이운동과 독립운동이 하나임을 느낄 수 있습니다.

인터뷰> 권애영 / 서울시 중구
"예전에 쓰신 책들을 요즘 어린이들이 읽기 좋게 만들어놓은 것을 볼 수 있어서 좋았고요. 그다음에 저렇게 방정환 선생님이 만든 책 중에 나오는 여러 가지 놀이도 같이 해볼 수 있는 자리를 마련해서 참 좋습니다."

국보 제216호 인왕제색도를 활용해 방정환 선생이 동무들과 독립운동을 비장하게 다짐한 것을 표현한 미디어 작품도 눈길을 끌었습니다.

인터뷰> 이이남 / 미디어 아트 작가
"겸재 정선이 그렸던 인왕제색도의 산수를 들어가는 사이사이에 방정환 선생의 일대기 이미지들이 나옵니다. 방정환 선생님을 생각할 수 있는 그런 전시(작품)입니다."

이번 전시는 소년운동을 시작으로 어린이 문학과 민족계몽에 힘을 쏟은 방정환 선생의 활약상을 재조명하기 위해 마련한 겁니다.

인터뷰> 조영주 / 국립어린이청소년도서관장
"(방정환 선생은) 어린이운동을 하신 분이라고 많은 분들이 기억하고 계십니다. 새로운 독립운동 또는 이제 우리나라의 독립을 쟁취하는 어떤 방법으로써 어린이운동을 시작하게 되셨다고 해요."

(촬영: 조은영 국민기자)

3·1운동과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 백 주년이 어른들만이 아니라 어린이들의 기념일이기도 하다는 것을 알리는 '모도가 봄 특별전'은 5월 5일 어린이날까지 열립니다.

국민리포트 정진명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