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국가기념식 모아보기
본문

KTV 국민방송

늦게 와서 좋은 편지···'느린 우체통' 인기

국민리포트 금요일 11시 40분

늦게 와서 좋은 편지···'느린 우체통' 인기

등록일 : 2019.03.29

이유리 앵커>
빠른 것이 좋은 것으로 여겨지는 요즘, 편지 한 통이 1년 후에나 배달된다면 어떨까요?
편지를 보내면 6개월에서 1년 후에 배달되는 '느린 우체통'이 인기입니다.
김창현 국민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김창현 국민기자>
봄기운이 찾아온 도심의 공원.
산책길에 나선 심찬 씨는 엽서에 한 자 한 자 마음을 채워 넣습니다.
사랑이 가득 담긴 엽서를 우체통에 넣는 손길에는 기다림과 설렘이 느껴집니다.

인터뷰> 심 찬 / 서울시 관악구
"지금 결혼 6년 차인데요. 아내에게 아내 회사로 한 번 (편지를) 보내 봤어요."

가까운 친구나 가족, 또는 본인 스스로에게 부친 느린 엽서는 1년 후에 배달되는데요.
누군가에게 보내는 엽서가 우체통에 차곡차곡 쌓여갑니다.

인터뷰> 김연주 / 서울시 마포구
"옛날에 보냈던 편지에 대한 생각들이 아직 완전히 잊힌 건 아니잖아요? 그러니까 (편지를 썼던) 생각도 나고.."

엽서는 인근 편의점에서 무료로 받아와 우표를 붙일 필요 없이 느린 우체통에 넣으면 됩니다.
지난해 이곳 경의선 숲길 느린 우체통에 담긴 엽서는 천 오백여 통에 이릅니다.
저도 마음을 담아 저 자신에게 편지를 써 보았는데요.
이 편지를 1년 후에 제가 받아보면 느낌이 어떨까 벌써부터 설레고 기다려집니다.
느린 우체통은 2009년 인천 영종대교 기념관에 첫선을 보였습니다. 이후 점점 늘어 지금은 서울 북악팔각정, 부산 감천문화마을, 해남 땅끝전망대 등 전국 270여 곳에서 운영됩니다.
추억과 여유를 배달하는 느린 엽서는 숨 가쁜 일상을 살아가는 이들에게 좋은 반응을 얻으면서 이용자가 늘고 있습니다.

인터뷰> 김현옥 / 한국우편사업진흥원 문화기획팀 주임
"요새는 메일이나 문자처럼 빠르게 (소식을) 주고받는 세상인데 편지를 통해서 느림의 미학에 대해 생각해 볼 수 있을 것 같고요. 또 받는 사람의 정성이나 마음이 전해지기 때문에 더 뜻깊지 않나 생각됩니다."

(촬영: 김석현 국민기자)

지난해 전국 느린 우체통에 담긴 소중한 마음은 만 오천여 통.
늦게 와서 좋은 엽서는 잊혀져 가는 편지의 추억도 되살려주고 있습니다.
SNS와 모바일 메신저의 발달로 빠른 것에 익숙해져 있는 현대인들에게 느린 우체통이 기다림의 의미를 일깨워 주고 있습니다.

국민리포트 김창현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