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국가기념식 모아보기
본문

KTV 국민방송

미세먼지 여파···어린이 교통안전 '삐걱'

국민리포트 금요일 11시 40분

미세먼지 여파···어린이 교통안전 '삐걱'

등록일 : 2019.04.18

조은빛나 앵커>
어린이 교통안전에도 '비상'이 걸렸습니다.
미세먼지가 심한 날에는 야외에 설치된 '어린이 교통안전 교육장'이 제구실을 못하기 때문인데요.
가뜩이나 선진국보다 어린이 교통사고가 많은 상황에서 걱정이 이만저만이 아닙니다.
정소라 국민기자가 취재했습니다.

정소라 국민기자>
어린이 교통공원
(장소: 경남 창원시)

창원에 있는 어린이 교통공원.
횡단보도 신호등이 빨간불에서 파란불로 바뀝니다.

현장음>
"손을 번쩍 들어줘야 한다!"

선생님 말씀에 어린이들이 손을 들고 안심하고 건넙니다.

인터뷰> 문준이 / 유치원생
"파란불이 되면 손을 들고 간다."

이곳에서는 어린이집과 유치원, 초등학교의 신청을 받아 야외에서 교통안전 교육을 진행하는데요.
하지만 올해 들어 미세먼지가 '나쁨'을 보인 날이 많아 교육장 운영이 자주 중단됐습니다.
이 때문에 이들 유치원 어린이들은 뒤늦게 교육을 받고 있는 겁니다.

인터뷰> 송주희 / 유치원 원장
"날짜를 정해놓고도 미세먼지가 나쁘면 저희가 취소도 몇 번 하고 그랬었는데.."

문제는 미세먼지가 갈수록 심해지고 있지만 이곳엔 실내교육장이 따로 없다는 점, 지난 3월 한 달 이곳의 어린이 교육 신청은 3백 명으로 1년 전 같은 달의 천 명과 비교할 때 절반도 안 됩니다.
어린이 교통안전 교육이 큰 차질을 빚고 있는 겁니다.

인터뷰> 박혜숙 / 어린이 교통공원 안전교육강사
"미세먼지 때문에 작년에는 일주일에 4회 정도 방문이 있었는데 올해 같은 경우에는 주 1회 정도밖에 방문이 안 되고 있어요."

이곳 어린이 교통공원에는 실내 교육장이 전혀 없는데요.
실내공간이라고 해봐야 사무실로 이용되고 있는 이 같은 자그마한 컨테이너가 한 채 달랑 있을 뿐입니다.
컨테이너에 들어가 보니 사람 8명 정도만 들어갈 정도로 비좁은 실정, 실내교육은 어림도 없습니다.
관할 구청은 뭐라고 할까.

인터뷰> 김주엽 / 창원 의창구청 경제교통과 주무관
"시설물을 공원 녹지 내에 설치하는 데 있어서 저희 구청 측에서는 진행하는데 다소 어려움을 겪고 있는 실정입니다."

전국에 있는 어린이 교통안전교육 체험장은 68곳, 취재진이 전화로 일일이 확인한 결과 실내교육장이 없는 곳이 15곳으로 전체의 22%나 됩니다.
열네 살 이하 어린이 교통사고 사망자 수는 우리나라가 인구 10만명 당 평균 1.2명, OECD 회원국 0.9명보다 훨씬 많은데요.
(촬영: 윤재영 국민기자)

교통사고로 숨지는 어린이가 한해 평균 88명에 만 5천 명이 다치고, 스쿨존에서 발생하는 교통사고가 1년에 4백 건이 넘을 정도로 심각합니다.
(영상 출처: 안전보건공단)
올 들어 석 달동안 초미세먼지 '나쁨' 일수는 지역에 따라 18일에서 29일, 일부 지역은 지난해 한 해 동안의 기록인 59일의 절반에 육박했는데요.
어린이 교통안전을 위한 실내 교육장 확대가 절실한 실정입니다.

인터뷰> 이진규 / 어린이 교통공원 대표
"실내공간을 마련하는 게 급선무인데요. 이렇게 하다 보면 자칫 교통안전에 대한 교육도 멈출 수가 있다는 겁니다."

도로에서 어린이 보호구역인 스쿨존에서 장소를 가리지 않고 발생하는 어린이 교통사고.
미세먼지가 갈수록 심해지면서 교통안전교육이 허술해질 수 있는 만큼 실내교육장을 늘리는 대책이 하루빨리 마련되어야 할 것입니다.

국민리포트 정소라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