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국가기념식 모아보기
본문

KTV 국민방송

세운부품도서관···을지로·청계천 부품 한자리에

국민리포트 금요일 11시 40분

세운부품도서관···을지로·청계천 부품 한자리에

등록일 : 2019.06.21

박민희 앵커>
서울 을지로 청계천 일대는, 탱크도 만든다는 말이 나올 정도로 공구 상가들이 모여있는 곳입니다.
지금은 도심의 재개발로 산업의 규모는 예전만 못하지만, 오랜 연륜과 기술을 바탕으로 새롭게 태어나려는 노력을 하고 있습니다.
그 중심에 '세운 상가'가 있는데, 이 일대 제조업의 어제와 오늘을 보여주는 '부품 도서관'이 문을 열었습니다.
김윤종 국민기자가 찾아가 봤습니다.

김윤종 국민기자>
진공관 앰프 턴테이블에 올려진 LP 판에서 따뜻한 선율이 흘러나옵니다.
약간의 잡음 섞인 듯한 소리는 색다른 매력을 선사합니다.
6~70년대 추억과 요즘 기술이 만난 진공관 블루투스는 아날로그 감성을 불러일으키고 있습니다

인터뷰> 류재용 / 다시세운 프로젝트 마이스터
"저 같이 옛날에 듣던 음악이 어딘지 부드럽고 향수에 젖어서 그걸 복원해서 듣는 사람들이 많죠. 저를 비롯해서 지금 오디오 진공관 앰프가 굉장히 유행하고 있잖아요."

(장소: 세운부품도서관 / 서울시 종로구)

부품 도서관에는 세운-을지로-청계천 상가에서 판매하는 200여 개의 부품 모듈과 180여 가지 재료를 한자리에 모였습니다.
부품이란 부품이 다 모여 있는 도서관은 도심 제조 산업의 중심지였던 청계천과 을지로 일대의 역사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아크릴, 유리, 금속, 파이프 같은 원자재와 가공 후의 모습도 만날 수 있습니다.
소비자가 필요한 부품 구매를 돕기 위한 겁니다.

인터뷰> 최찬우 / 세운상가 전자부품 전문점 대표
"이런 것 내가 사야 하는데 하고 실물을 볼 것 아닙니까? 실물을 보고 거기서 물어보면 이것은 우리 세운상가 어디에서 팝니다 (라고 말할 수 있는) 취지에서 만든 것 같습니다."

보이는 사물을 LED 도트 그래픽으로 표현하는 조명장치, 게임에 사용하는 장치인 조이스틱과 레버, 첨단 호텔 객실 관리 시스템 등 새로운 전자기기들은 공구 거리의 변화를 말해주고 있습니다.

인터뷰> 구영모 / 서울시 용산구
"세운상가의 새로운 부흥기가 될 수 있었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들고요. 박물관이 너무 구성이 잘 돼 있어서 많은 사람들이 보고 찾아왔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장소: 세운전자박물관 / 서울시 종로구)

1950년대 진공관 라디오부터 3D 프린터에 청년 메이커와 스타트업 기업의 신제품까지 다양한 제품과 기술이 모여있는 세운상가는 기술자와 창작자, 제작자가 유기적으로 만나고 소통하는 메이커 시티로 발돋움하고 있습니다.

인터뷰> 오아영 / 세운협업지원센터 기획홍보매니저
"젊은 창업자들이 이곳에 와서 다양한 시제품을 만들고 제품개발을 해서 이곳에서 좀 더 양적이나 질적으로 일자리로 늘고 활발한 제조 산업이 다시 부활할 수 있게끔 발전을 하는게 저희 목표라고 할 수 있습니다."

(촬영: 이정임 국민기자)

반세기 역사를 품은 세운상가에 자리 잡은 부품 도서관과 전자 박물관은 이 일대 제조 산업에 대한 다양한 가치를 확인하고 도심의 역사를 보여주는 이색 공간으로 관심을 모으고 있습니다.

국민리포트 김윤종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