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국가기념식 모아보기
본문

KTV 국민방송

'형제의 나라' 터키···한국전 참전 용사의 이야기

국민리포트 금요일 11시 40분

'형제의 나라' 터키···한국전 참전 용사의 이야기

등록일 : 2019.06.28

박민희 앵커>
형제의 나라 터키는 한국전쟁 당시 미국과 영국에 이어 세 번째로 많은 병력을 파견해 우리나라를 도왔습니다.
당시 청년이었던 이들이 아흔의 노인이 됐는데요.
참전용사들은 전쟁의 두려움을 잊으려 노력하며 힘겹게 살아가고 있습니다.
노병들의 이야기를 임병인 국민기자가 들어봤습니다.

임병인 국민기자>
(장소: 참전용사 기념박물관 / 터키 오데미쉬)
6·25 한국 전쟁 때 340명을 파병한 터키의 한마을.
참전용사 기념박물관에는 당시 장병들의 모습이 사진 속에 담겨 있습니다.
이중 40명이 목숨을 잃는 가슴 아픈 사연은 70년 가까이 흐른 지금도 상처로 남아있습니다.

인터뷰> 쉘 라틴 / 오데미쉬 한국참전용사 협회장 겸 기념박물관장
"3형제가 한국전쟁에서 전사했습니다. 이스마일 아르무둘르, 아지즈아르무툴르 두 형제가 전사했고 무히틴 에크멘, 이제트 에크멘이들 형제도 모두 한국 전쟁에서 전사했습니다."

한국 전쟁에 파병됐던 아흐멧 씨.
아흔의 노병은 전우들의 사진을 한 장 한 장을 보면서 당시의 기억을 떠올립니다.
오랜 항해 끝에 부산에 입항한 아흐멧 씨는 바로 전선에 투입됐습니다.

인터뷰> 아흐멧 발크 / 터키군 한국전 참전용사
"중국군은 20m, 30m 아주 가까운 사정거리에서 수류탄을 끊임없이 던졌습니다. 포성이 잠잠해졌을 때 아군 병사 하나가 나가서 중국군 7명을 총검으로 사살했는데 다음 날 그 병사는 총에 맞아 전사했습니다."

(출처: 유튜브)

한국전쟁 중에서 손꼽히는 격전지인 군우리 전투.
노병은 전우들의 희생을 보면서 중공군의 공격을 필사적인 막아냈던 전투를 마치 어제의 일처럼 기억합니다.

인터뷰> 아흐멧 발크 / 터키군 한국전 참전용사
"(중공군은) 군이 운집했을 때 총을 쐈습니다. 하지만 터키군은 11월 27일부터 30일까지 4천 5백 명의 병력만으로 4만 명의 중공군과 끝까지 싸웠습니다."

6·25 전쟁 기간에 기록했던 빛바랜 일기장을 다시 꺼냈습니다.
일기장을 한 장 한 장 넘기고 읽어 내려가는 노병은 얼굴에는 아직도 전선에 있는 것처럼 긴장감이 엿보입니다.
한국전쟁 참전용사의 가정입니다.
전선에서 사용하던 빛바랜 돈을 간직하고 있는 에민 용사.
전쟁으로 생긴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로 고통을 받고 있습니다

인터뷰> 메흐멧 / 한국전 참전용사 아들
"아버지는 한국전쟁에서 돌아온 다음, 40년이 지나서 매일 밤 소리를 지르며 트라우마가 시작되었습니다. 낮에도 (허공에) 겁에 질려서 소리를 지르십니다. 그때 아버지 얼굴을 보면 한국전쟁에서 얼마나 두려움으로 지내셨는지 이해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저는 항상 아버지가 대한민국 국민들을 위해서 싸워주셨던 것에 대해 자랑스럽게 여깁니다."

참전 용사의 집에 손님이 찾아왔습니다.
6·25 한국전쟁 69주년을 맞아 한국인 어린 남매가 꽃다발을 들고 감사 인사를 온 겁니다.

인터뷰> 임동규 / 터키 토르발르
"우리나라를 위해서 싸워 준 터키 군인 아저씨들에게 감사드려요. 지금은 우리나라가 더 많이 발전했지만 감사하는 마음을 잊지 않아야 한다고 생각해요."

선물을 받은 노병은 고마운 마음을 담아 한국 남매에게 아리랑 노래를 불러줍니다.

인터뷰> 지한 / 아흐멧 발크 참전용사 딸
"(한국전쟁 중) 총상을 당하셨어요. 심장 바로 위쪽에서 등 뒤로 총알이 나갔어요. 그런데 8년 뒤에 아버지가 총상을 당한 날에 제가 태어났어요. (살아 계셔서) 아버지를 더 사랑하고 존경해요."

(사진출처: Bianet)
(사진출처: Gezimanya)

형제의 나라 터키는 한국 전쟁 때 2만 2천여 명을 파병해 이 가운데 724명이 전사하고 166명이 실종됐습니다.
6·25 한국전쟁이 발발한 지 벌써 69주년이 지났습니다.
참전용사들이 잊고 싶어도 잊혀지지 않는 전쟁 트라우마가 아직도 남아있다면, 참전용사 어른에게 감사 인사를 하기 위해서 찾아온 어린 두 남매들 처럼 조금씩 행복한 기억을 채워 드리는 것은 어떨까요?

지금까지 터키에서 국민리포트 임병인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