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국가기념식 모아보기
본문

KTV 국민방송

재난 대비 안전체험···위기 대처 '산 교육'

국민리포트 금요일 11시 40분

재난 대비 안전체험···위기 대처 '산 교육'

등록일 : 2019.11.08

구민지 앵커>
우리나라도 이제 더 이상 지진 안전지대가 아닌데요.
전남지역에 처음으로 대규모 안전 체험 학습장이 생겼습니다.
지진은 물론 화재나 선박 사고 등 각종 재난 상황에 대비해 학생들의 위기 대처 능력을 키우고 있는데요.
김남순 국민기자가 다녀왔습니다.

김남순 국민기자>
실제 교실처럼 만들어진 지진안전체험관, 지진이 났다는 긴급 상황이 발생하자 어린 학생들이 재빨리 책상 밑으로 들어갑니다.
책상다리를 꽉 붙잡고 있는 아이들, 지진이 멈추자 머리를 보호하기 위해 방석을 뒤집어쓰고 밖으로 나갑니다.

인터뷰> 김윤별 / 초등학생
“(지진이 났을 때) 머리를 보호하고 책상 아래로 숨어야 된다는 것을 알았어요.”

전남지역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안전체험학습장.
재난 안전과 교통안전 등 여섯 개 분야의 체험장을 갖추고 있습니다.

인터뷰> 장우진 / 전남 안전체험학습장 분원장
“각종 사고로부터 대처 능력을 키울 수 있는 체험 위주의 안전교육을 실시하고 있습니다.”

노래방에서 신나게 노래를 부르고 있는데 돌발 상황이 발생합니다.

현장음>
“화재가 발생했습니다. 비상구를 이용하여 안전하게 대피하시기 바랍니다.”

갑자기 사이렌이 울리면서 연기가 들어오자 긴급 대피합니다.
코를 막고 몸을 최대한 낮춘 뒤 비상구를 찾아 화재 현장에서 벗어나는데요.
실제 상황을 방불케 합니다.

인터뷰> 서민서 / 초등학생
“화재 대피하는 법을 알아서 진짜 화재가 일어났을 때 잘 알 수 있어서 좋아요.”

배를 타고 가다 사고가 났을 때 대처하는 안전체험, 가장 먼저 구명조끼를 입습니다.

현장음>
“끈을 조절해서 버클을 딸깍! 갑자기 배가 한쪽으로 기우는데요…”

배가 점점 심하게 기울어질 때 어떻게 탈출해야 하는지도 배웁니다.

현장음>
“기울어진 쪽의 반대쪽으로 이동을 해야 합니다.”

구명조끼를 입은 학생들이 갑판 위에서 가상의 바다로 뛰어내립니다.

인터뷰> 정혜진 / 초등학생
“바다에서는 구명조끼를 입고 대피하고 보트에 타야 한다는 걸 느낄 수 있었어요.”

이번에는 항공기 사고에 대비한 안전 체험 교육, 비상 상황이 발생했을 때 산소마스크를 사용하는 방법을 배웁니다.
비상 착륙할 때는 반드시 안전벨트를 착용하고 깍지를 끼고 몸을 웅크려야 한다는 점을 알게 됩니다.

인터뷰> 김아린 / 초등학생
“비행기를 탔을 때 처음에는 어떻게 대피하는지 몰랐는데 이 방법을 배우고 대피하는 것을 알아서 기분이 좋았어요.”

인터뷰> 박윤경 / 체험 초등학교 인솔 교사
“여기 와서 실제로 보고 느끼고 체험하면서 아이들이 안전에 대한 중요성을 많이 인식하고 돌아가서 안전하게 생활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이곳에서는 오는 12월까지 전남지역 초중고등학교 학생 7천여 명을 대상으로 체험 교육이 실시됩니다.
교실이 아닌 현장에서 산 교육을 받을 수 있는 안전체험학습장.
어린 학생들의 안전 의식을 높이는데 한몫 톡톡히 하고 있습니다.

국민리포트 김남순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