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국가기념식 모아보기
본문

KTV 국민방송

'복고 문화 열풍' 속 나전칠기 체험 인기

국민리포트 금요일 11시 40분

'복고 문화 열풍' 속 나전칠기 체험 인기

등록일 : 2019.11.11

구민지 앵커>
'복고풍 문화'가 유행인 요즘, 옛 것에 대한 관심이 커지면서 우리 전통 공예품인 나전칠기를 배우려는 일반인들이 많은데요.
장인의 지도를 받으며 소라와 전복 껍데기로 예쁜 나전칠기 소품을 만들어보는 체험 현장을, 박혜란 국민기자가 다녀왔습니다.

박혜란 국민기자>
자개로 쓰이는 조개껍데기, 꽃 모양의 밑그림에 정성을 들여 하나하나 박아 넣습니다.
이렇게 해서 한 달 이상 작업을 해야 보석함 하나를 만들 수 있습니다.
도자기에 자개를 입히는 나전칠기도 만듭니다.

현장음>
“첫 번째 옻칠을 한 다음에 갈아내고 두 번째 옻칠을 하는 과정입니다. 이 과정을 4번 정도 반복해야 작품이 완성될 수 있습니다.”

세종의 손자, 이정이 그린 매화도를 나전칠기로 재현한 매화장, 만드는데 열 달 이상 걸리는 작품입니다.

인터뷰> 김용겸 / 나전칠기 장인
“만드는 과정이 너무 어렵고 시간이 많이 걸리기 때문에 거의 배우는 사람이 없습니다. 저희들이 이런 대작을 만들 수 있는 마지막 세대인 것 같습니다.”

그나마 하나하나 배워가며 대를 이어가려는 가족이 있어 다행입니다.

인터뷰> 김효은 / 나전칠기 이수자
“처음에는 아버지가 하는 걸 보고 너무 힘들다고만 생각했는데 이것을 현대적으로 (해석) 해서 모든 사람이 사용할 수 있고 사랑받는 작품을 만들어 보고 싶습니다.”

안동 한옥마을에서 마련한 나전칠기 체험 프로그램, 우리 전통 공예에 대한 관심을 높이기 위해 나전칠기 장인이 직접 현장에 나섰습니다.

현장음>
“이런 기물에 자개를 붙여서 만들어 보는 것을 체험해보도록 하겠습니다.”

미리 옻칠이 돼 있는 나무 목걸이와 찻숟가락에 자개를 붙여가며 나만의 작품을 만드는 체험인데요.
먼저, 풀칠을 해놓은 소라와 전복 껍데기를 물에 담가놓습니다.

현장음>
“(자개) 여러 장을 붙이면서 붙어있는 풀. 그것을 제거해야 자개 한 장씩 떨어져서 여기에 붙일 수 있습니다. 그래서 물에 담가놓는 겁니다.”

소라와 전복 껍데기를 핀셋으로 골라 하나하나 붙여나가는데요.
꽃 모양의 자개, 길쭉길쭉한 모양의 자개 등 저마다 마음에 드는 자개를 고릅니다.
정성을 다해 만든 꽃 모양의 목걸이와 다양한 무늬의 찻숟가락, 체험객들은 새삼 옛 추억을 떠올립니다.

인터뷰> 변갑순 / 경북 영주시
“어렸을 때 우리 집 안방에도 큰 나전칠기장이 있었다는 추억을 다시 한번 생각하게 되고 직접 만들어보니 생각보다 쉽지 않고…”

연인과 함께 예쁜 목걸이 작품을 만들었다며 자랑도 합니다.

인터뷰> 김지은 / 경북 구미시
“색깔도 약간 홀로그램처럼 예쁜 것 같아요. 커플로 만들었어요. 예쁘죠?”

원래 나전칠기는 하나의 작품이 완성되기까지 스무 가지가 넘는 까다로운 과정을 거쳐야 하는데요.
이번 체험은 간단한 소품 만들기로 진행됐습니다.

(영상촬영: 박성애 국민기자)

'복고풍 문화'가 유행인 요즘, 전통 체험에 관심을 보이는 사람들의 모습에 장인은 뿌듯한 보람을 느낍니다.

인터뷰> 김용겸 / 나전칠기 장인
“앞으로 이런 체험을 할 수 있는 기회가 점점 많아져서 나전칠기를 더 가깝게 느낄 수 있는 계기가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우리 전통공예의 멋을 한껏 느끼게 한 나전칠기 체험.
아름다운 전통문화를 사랑하고 아끼는 마음을 다시 한번 일깨워준 소중한 자리가 됐습니다.

국민리포트 박혜란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