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국가기념식 모아보기
본문

KTV 국민방송

민속극 체험·공연으로 전통문화 관심 높여

국민리포트 금요일 11시 40분

민속극 체험·공연으로 전통문화 관심 높여

등록일 : 2022.08.30

김담희 앵커>
옛날부터 이어져 온 탈놀이나 남사당놀이 등을 민속극이라고 하는데요, 충남 공주에 있는 민속극 박물관에서 백제 탈 만들기 체험과 남사당 전통연회 공연 등 의미 있는 행사가 동시에 펼쳐졌습니다.
우리 전통문화에 대한 관심을 높인 현장을, 박혜란 국민기자가 다녀왔습니다.

박혜란 국민기자>
(한국민속극박물관 / 충남 공주시)
울창한 소나무 숲으로 둘러싸인 이곳, 공주의 한 마을 언덕에 들어서 있는 한국민속극박물관입니다. 입구에 들어서자 여러 가지 탈이 눈길을 끕니다.
2층 전시관, 12가지 띠를 주제로 짚으로 만든 동물 모양의 탈이 관람객들에게 정감있게 다가옵니다.
우리나라의 많은 탈 가운데 백제시대 탈도 만날 수 있는데요.
박물관 관장이 역사적 의미를 설명해줍니다.

현장음> 심하용 / 한국박물관장
“백제시대에는 하늘에 제사를 지내거나 아니면 왕을 기쁘게 하기 위해서 탈을 쓰고 놀았어요. 그 탈 이름을 '백제기악'이라고 하거든요.”

이곳에 전시된 민속극 자료는 민속학자이자 1인극 배우였던 故 심우성 선생이 평생 수집한 것들. 탈부터 인형, 의상, 악기에 이르기까지 8백여 점이나 됩니다.

현장음>
“예쁘다∼”

인터뷰> 오세화 / 충남 공주시
“이 탈들이 가진 역사적 의미를 자세하게 관장님이 설명해줘서 많은 것을 보고 배운 것 같고요.”

전시관을 둘러본 관람객들이 백제 탈 모습의 천연비누를 만들어보는 체험 시간, 강사가 비누를 만드는 틀부터 소개합니다.

현장음> 강창미 / 비누공예 강사
“보통 비누 모양을 꽃이나 동물들로 하는데 우리 박물관에서는 백제 탈을 비누틀로 만들었어요.”

고체 형태로 비누를 만들 수 있는 모형을 깍두기 모양으로 썰어서 60도의 열에 서서히 녹여야 하는데요. 참가한 아이들이 직접 잘라봅니다.

현장음>
“딱딱하면서도 약간 부드러워요.”

다 녹으면 몸에 좋은 치자 가루를 넣어서 다시 한번 저어 줍니다. 준비된 탈 모양의 틀에 액체를 조심조심 부어주고 30여 분쯤 지났을까...
특이한 백제시대 탈 모습의 작은 비누가 완성됩니다.

인터뷰> 김보민 / 공주사대부설초 2학년
“제가 만든 백제 탈인데요. 저랑 닮았죠? 친구에게 선물할 거예요. 그리고 너무 재미있어요.”

인터뷰> 김기범 / 충남 공주시
“백제 탈 같은 것을 처음 봤는데, 이러한 탈도 사람들이 많이 알았으면 좋겠습니다.”

야외 특설무대에서는 인형극 공연이 펼쳐집니다. 선녀처럼 생긴 인형이 음악에 맞춰 춤을 추는데요..민속학자인 고 심우성 선생의 제자인 재일교포 3세가 선보인 우아한 인형극 모습에 관객들이 마냥 즐거워합니다.

인터뷰> 고규미 / 인형극 예술가
“선생님의 제자답게 우리나라 정서와 아름다움을 인형극에 예술로 재창조하고 발표하는 작품을 가지고 왔고...”

중요문형문화재로 지정돼 있는 남사당놀이, 여섯 마당 중 버나마당으로 불리는 접시돌리기가 시선을 사로잡는데요.
남사당이 한바탕 신나게 선보이자 관객들이 환호성을 올립니다.

인터뷰> 정철기 / 충남 공주시
“(즐기는) 마음을 향유하며 같이 노는 축제가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아주 즐겁습니다.”

홀로 박물관을 이끌어가는 심하용 관장, 탈을 만든 할아버지, 탈 민속극을 복원한 아버지에 이어 민속극 자료를 활용해 책을 펴내면서 전통문화를 계승 발전해나가고 있습니다.

인터뷰> 심하용 / 한국민속극박물관장
“한국의 민속극의 독특한 분야를 더욱 심도있게 파헤칠 수 있도록 관심 있는 기관과 단체의 도움이 더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민속극 박물관으로는 국내에서 유일한 이곳이 든든한 전통문화 지킴이가 되고 있습니다.

(취재: 박혜란 국민기자 / 촬영: 김상구 국민기자)

박혜란 국민기자
“우리 민속문화를 이어가기 위해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 한국민속극박물관, 전통문화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 문화공간으로서 한 몫 톡톡히 하고 있습니다.”

국민리포트 박혜란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