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국가기념식 모아보기
본문

KTV 국민방송

취약계층 학생 돕는 교육복지사 확충 필요

국민리포트 금요일 11시 40분

취약계층 학생 돕는 교육복지사 확충 필요

등록일 : 2022.08.31

김민혜 앵커>
최근 복지사각지대에 놓인 세 모녀에 이어 보육원 출신 대학생이 극단적 선택을 하는 안타까운 사례가 잇따랐는데요.
취약계층의 학생들을 돕는 교육복지사의 역할이 새롭게 부각되고 있습니다.
교육 복지가 촘촘히 이뤄질 수 있도록 교육복지사 인력 확충도 필요해 보이는데요.
김남순 국민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김남순 국민기자>
(전남 목포시)
주말 오전 목포의 한 초등학교 강당, 학교에 배치된 교육복지사가 학생들과 하나가 돼 뮤지컬 연습을 합니다.

현장음>
“준비하고 갑니다~”

이들 학생은 취약계층이 밀집한 5개 초·중학교에 다니는 학생들, 주말에 딱히 갈 데 없는 이들을 위해 학교 공동사업으로 뮤지컬 동아리를 만든 것입니다.

인터뷰> 뮤지컬 동아리 참여 중학생
“다른 친구뿐만 아니라 언니, 오빠, 동생들과 함께 하루를 보내는 것도 너무 좋습니다.”

인터뷰> 박애연 / 목포 'ㅂ' 초등학교 교육복지사
“재능있는 아이들은 많은데 교육복지 예산이 학교별로 많은 것이 아니거든요. 그래서 인근 학교끼리 공동사업을 하고 있어요.”

목포의 또 다른 초등학교.

현장음>
“방학 동안 어떻게 보냈어요?”

취약계층 학생을 만나 상담과 대화도 하며 올바른 길로 인도하는 교육복지사, 수업이 끝난 뒤 가정 위기에 놓인 초등학생 대여섯 명을 데리고 목포의 한 대형마트를 찾았습니다, 함께 장을 보는 맞춤형 교육복지인데요.

인터뷰> 김재화 / 목포 'ㄷ' 초등학교 교육복지사
“함께 장을 보고 이것을 가정에 가져다주면서 아이를 더 이해하는 계기가 되거든요.”

학생들이 좋아하는 과일부터 햄까지 다양한 먹거리를 챙기고

현장음>
“이 색 예쁘다, 이게 맞으려나?”

아버지와 함께 사는 학생을 위해 세심하게 옷을 골라주기도 합니다.

현장음>
"감사합니다~"
"예쁘게 입고 다녀요"

장을 본 뒤에는 아버지와 함께 사는 원룸으로 가정방문을 합니다. 또 다른 학생의 집, 우울증으로 어려움을 겪는 어머니에게 구입한 물건을 건넵니다.
교육복지사가 케이크를 구입하는 날도 있습니다. 몸이 불편한 부모를 대신해 학생 생일을 축하해주기 위한 것으로  케이크를 부모에게 전합니다.

인터뷰> 김재화 / 목포 'ㄷ' 초등학교 교육복지사
“부모들이 아이들의 생일 파티를 준비하기 어려운 가정이어서 제가 아이들 몰래 사다 주고...”

또 다른 초등학교의 교육복지사, 아버지와 함께 사는 어린 학생의 집을 찾아 친딸처럼 챙깁니다.

현장음>
“양말이랑 속옷 접는 법 다 가르쳐 줄 테니까... 그래서 같이 정리하게...”

인터뷰> 이선주 / 목포 'ㅈ' 초등학교 교육복지사
“아이가 사춘기가 오고 이런 과정에서 이야기를 하다 보니까 아빠와 한 공간을 사용한다고 해서 가정 방문을 가야겠다는 생각이 들어서 오게 됐어요.”

(사진 제공: 목포교육지원청)

딱한 사정을 알게 된 교육지원청에서 학생이 따로 잘 수 있는 침대를 구입해주는 등 생활용품을 지원하고, 봉사단체에 요청해 허름한 집을 새로 도배하고 주방과 욕실도 고쳐줬습니다.

인터뷰> 취약계층 초등학생
“교육복지사 선생님이 국제로타리라는 기관과 연계해서 깨끗하게 수리해주었습니다. 집이 깨끗하고 편리해졌어요.”

코로나 사태 이후 취약계층이 늘면서 교육복지사의 중요성이 더욱 커졌습니다.

인터뷰> 김미혜 / 목포교육지원청 프로젝트 조정자
“취약계층 학생들이 초·중·고 단절 없이 건강한 우리 사회의 구성원으로 당당하게 성장할 수 있도록 교육부와 각 시도교육청에서는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을 대폭 확대하면 좋겠습니다.”

현재 교육복지사가 배치된 초중고등학교는 전국 학교 가운데 14%가량, 최근 세 모녀와 보육원 출신 대학생의 잇따른 극단적 선택을 계기로 교육복지사 인력 확충이 필요해 보입니다.

김남순 국민기자
“복지 사각지대에 대한 우려와 관심이 커지는 요즘, 자칫 소외감을 가질 수 있는 아이들에게 든든한 울타리가 되고 있는 교육복지사의 역할이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해지고 있습니다.”

국민리포트 김남순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