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본문

KTV 국민방송

한·중·일 '전략적 동반자'로

이명박 대통령이 지난 주말 중국 베이징에서 열린 제2차 한·중·일 정상회의에 참석했습니다.

이 대통령은 이번 정상회의에서 북핵문제 해법인 일괄타결 구상에 대한 공감을 이끌어내는 등 적지않은 성과를 거뒀다는 평가입니다.

중국 베이징에서 열린 한중일 정상회의의 가장 큰 성과 중 하나는 3국 정상이 세나라간의 협력 방향을 담은 10주년 공동 성명을 채택했다는 점입니다.

이명박 대통령과 원자바오 중국 총리, 하토야마 일본 총리는 공동성명을 통해 "3국은 역사를 직시하고 미래를 지향하는 정신으로 협력의 가능성을 모색하고 그 영역을 확대시켜나갈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또 역내 평화와 안보를 위한 협력을 강화하기 위해 북핵 해결을 위한 6자 회담의 조속한 재개를 촉구했습니다.

특히 이 대통령은 북핵 해법으로 제시한 일괄타결 구상과 관련해 공감을 이끌어 냈습니다.

중국 원자바오 총리는 "일괄타결 방안에도 개방적 태도로 적극 협의해 나가겠다"고 밝혔고, 하토야마 총리도 지지의사를 거듭 확인했습니다.

북핵 일괄타결에 대해 중국과 일본의 지지를 받은 이 대통령은 한발 더 나아가 이를 북한에 설명하고 싶다는 뜻도 함께 나타냈습니다.

또 3국 정상들은 이번 베이징 회의를 계기로 정부 차원에서의 한·중·일 자유무역협정(FTA)을 추진하기로 했습니다.

지난 7년간 한중일 FTA 체결 추진에 대한 민간 차원의 연구가 진행된만큼 가능한 부분부터 체결 논의를 하겠다는데 의견을 같이했습니다.

이 밖에도 3국 정상들은 이 대통령이 제안한 한중일 협력 사이버사무국을 설치해 그 동안 3국이 협력을 해왔지만 총괄적인 관리가 이뤄지지 않아 비효율적이었던 부분도 해결하기로 했습니다.

이처럼 이번 정상회의는 동아시아 3대 강국이 안보와 경제 등 주요 분야에서 이른바 `전략적 동반자 관계'의 기틀을 마련하는 계기가 됐다는 데 의미가 있다는 평가입니다.

세 나라의 GDP, 즉 국내총생산를 합치면 동아시아 전체 GDP의 70%를 차지하고 있고, 3국 모두 G20 정상회의 회원국인데다 북핵 문제 해결을 위한 6자 회담 참여국입니다.

한·중·일 3국은 이 같은 국제적 흐름 속에서 3국간 정상회의를 독립 회의체로 한 차원 격상하는데 인식을 같이했습니다.

KTV 이경미입니다.


(KTV 한국정책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저작권자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