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처별 뉴스
-
北 "광명성 3호,궤도진입 성공"
북한은 로켓 발사가 성공했다고 신속하게 공식 발표했습니다.
통일부에 나가있는 기자 연결해보겠습니다.
김경아 기자.
통일부에 나와있습니다.
북한 반응, 전해주시죠.
네, 북한은 발사 1시간 30분 뒤에 조선중앙통신을 통해 성공 사실을 신속하게 전했는데요.
조금 전에는 조선중앙티비를 통해서도 관련 내용을 발표했습니다.
발표 먼저 들어보시죠.
조선...
-
"한국계 미국인, 북한에 장기 억류중"
한국계 미국인 관광업체 대표가 한 달 이상 북한에 억류 중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대북 소식통에 따르면 중국에서 북한 전문여행사를 운영하는 케네스 배 씨가 지난달 초 여행객들을 인솔해 함경북도 나진항을 통해 북한에 들어갔다가 북한 당국에 억류됐습니다.
북한 당국은 여행객 가운데 한 명의 소지품에 문제가 있다는 이유를 들어 인솔자인 배씨를 붙잡아 조사를 ...
-
北 "광명성 3호,궤도진입 성공"
북한은 로켓 발사가 성공했다고 신속하게 공식 발표했습니다.
통일부에 나가있는 기자 연결해보겠습니다.
김경아 기자.
통일부에 나와있습니다.
북한 반응, 전해주시죠.
네, 북한은 발사 1시간 30분 뒤에 조선중앙통신을 통해 성공 사실을 신속하게 전했는데요.
조금 전에는 조선중앙티비를 통해서도 관련 내용을 발표했습니다.
발표 먼저 들어보시죠.
조선...
-
"북 장거리미사일, 발사대서 내려 수리중"
북한이 발사대에 장착됐던 장거리미사일을 내려 근처 조립동으로 이동시킨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기술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조치로 보이는데요, 하지만 발사를 강행하겠다는 뜻은 굽히지 않고 있습니다.
김용민 기자의 보도입니다.
북한이 평안북도 철산군 동창리 발사대에 장착된 장거리미사일을 발사장으로 내린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북한이 밝힌 기술적 결함을 해결...
-
북한 장거리 미사일 발사
조금 전 9시 52분 오늘 오전 북한이 장거리미사일을 발사했다는 소식 들어와 있습니다.
추후 자세한 소식이 들어오는대로 다시 전해드리겠습니다.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발사 기간 29일까지 연장…기술적 결함"
북한이 당초 어제(10일)부터 22일까지였던 장거리미사일 발사 기간을 일주일 연장하겠다고 밝혔습니다.
기술적 결함을 이유로 들었는데요, 이에 따라 실제발사는 오는 23일에서 29일 사이에 이뤄질 것이라는 분석이 나오고 있습니다.
정명화 기자의 보도입니다.
북한이 장거리 미사일 발사 기간을 오는 29일까지 연장한다고 발표했습니다
조선우주공간기술위원회는...
-
北, '발사 중단 촉구 국회 결의안' 접수 거부
북한이 장거리미사일 발사 중단을 촉구하는 국회 외교통상통일위원회의 결의안 접수를 거부했습니다.
통일부는 "국회 결의안 서한을 북한 최태복 최고인민회의 의장 앞으로 전달하려고 했지만 북측이 접수를 거부했다"고 밝혔습니다.
통일부는 국회의 요청에 따라 결의안을 지금까지 모두 4차례에 걸쳐 판문점 연락관 채널을 통해 북측에 전달을 시도했습니다.
...
-
"북 장거리미사일, 발사대서 내려 수리중"
북한이 발사대에 장착됐던 장거리미사일을 내려 근처 조립동으로 이동시킨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기술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조치로 보이는데요, 하지만 발사를 강행하겠다는 뜻은 굽히지 않고 있습니다.
김용민 기자의 보도입니다.
북한이 평안북도 철산군 동창리 발사대에 장착된 장거리미사일을 발사장으로 내린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북한이 밝힌 기술적 결함을 해결...
-
"北 발사기간 연장 국제기구에 통보"
북한이 장거리 미사일 발사 기간을 29일까지 일주일 연장한다는 내용을 국제기구에 통보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정부 관계자는 "북한이 국제민간항공기구와 국제해사기구 등 국제기구에 발사 기간 연장을 통보한 것으로 확인됐다"며 "추진체 낙하 지점 등 다른 사항은 변동이 없다"고 밝혔습니다.
앞서 북한은 발사 계획을 국제기구에 알리면서 1단 추진체는 전북 부안...
-
"北 발사기간 연장 국제기구에 통보"
북한이 장거리 미사일 발사 기간을 29일까지 일주일 연장한다는 내용을 국제기구에 통보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정부 관계자는 "북한이 국제민간항공기구와 국제해사기구 등 국제기구에 발사 기간 연장을 통보한 것으로 확인됐다"며 "추진체 낙하 지점 등 다른 사항은 변동이 없다"고 밝혔습니다.
앞서 북한은 발사 계획을 국제기구에 알리면서 1단 추진체는 전북 부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