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현재 선체 내부에 있을 것으로 예상되는 실종자들의 생존가능성은 아직까지 정확하게 확인되지 않고 있습니다.
생존을 위해서는 이른바 에커포켓이라고 불리는 선실 안 산소가 중요한데요, 노은지 기자가 자세히 전해드립니다.
[기사내용]
현재 구조작업의 가장 큰 관심사는 침몰한 배 안에 생존자가 있는지의 여부입니다.
실종자들이 대부분 선실 안에 갇혀 있을 것으로 추정되는 가운데 물이 차오르지 않은, 밀폐된 공간에 생존자가 있다면 일정 시간은 버틸 수 있다고 전문가들은 말합니다.
배 안에 남아있는 공기, 이른바 에어포켓으로 연명하는 겁니다.
밀폐형 선실의 경우, 산소가 남아 있는 공간에서 최대 48시간 정도 살 수 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세월호의 일부가 수면 위에 떠있다는 점에서 에어포켓이 만들어져 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하지만 좁은 공간에 많은 인원이 모여 있으면 생존 가능한 시간은 빠르게 줄어듭니다.
실제로 지난해 대서양에서는 전복된 배 안에 갇힌 선원이 에어포켓으로 연명하다 사흘 만에 구조됐습니다.
또 재작년에는 이탈리아 근처 바다에 좌초된 유람선에서 사고 발생 30시간 만에 한국인 신혼부부가 구조됐고, 선원 한 명은 36시간이 지나 발견됐습니다.
KTV 노은지입니다.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