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러분 안녕하십니까, 클릭 경제브리핑입니다.
'직업에는 귀천이 없다'는 말이 있습니다.
땀 흘려 일하는 근로의 소중함에 있어선 경중을 가릴 수가 없다는 의미일 텐데요.
하지만 귀천은 없는 대신에, 시대의 변화에 따라 인기 직종의 차이는 있을 수 있습니다.
한국고용정보원이 오는 2018년까지 고용변동 요인을 분석한 보고서를 내놨는데, 그 내용을 보면 이른바 뜨는 직종과 그렇지 않은 직종을 전망해볼 수가 있습니다.
보고서에 따르면 백서른일곱개로 분류된 국내 직업 가운데, 2018년까지 고위공무원과 임원, 사회서비스 관리자 등 모두 쉰여덟개 직업의 취업자 수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됐습니다.
특히 보건·의료 직종에선 의·약사와 간호사는 물론 서비스 종사자까지 전 직종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됐고, 사회복지 업종과 상담 전문가, 금융, 법률, 환경 관련직도 늘어날 것으로 전망됐습니다.
반면에 백서른일곱개 직업 가운데 예순개는 취업자 수가 줄어들 것으로 전망됐는데, 제조업의 기능직과 기계 조작직, 농림어업 분야 기능직과 단순직 등이 포함됐습니다.
한편 대학교수와 유치원 및 학교 교사, 기자, 자동차 정비원 등 아홉개 직업의 취업자 수는, 큰 변화가 없을 것으로 전망됐습니다.
결론적으로, 급증하는 서비스 수요에 부응해 의료와 복지, 금융, 사회서비스 일자리가 늘어나고, 단순 기능직 일자리는 대부분 줄어드는 것으로 요약될 수 있는데요.
고용정보원은 단순 기능직 일자리가 갈수록 줄어드는 건, 기술의 발달에 따른 자동화·기계화와 더불어서, 힘든 일을 싫어하는 젊은층의 기피 현상 때문인 것으로 분석했습니다.
그렇다면 취업자수 증감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경제적 요인들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먼저 정부 정책과 법·제도의 도입이 꼽혔고, 가치관과 생활방식의 변화, 기업 경영방식의 변화는 물론, 세계화와 인구구조의 변화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됐습니다.
청년 취업난이 심각한 요즘, 그렇기 때문에 오히려, 어떤 직종이 유망한지, 그리고 자신의 적성이 어디에 있는지, 더욱 신중하게 따져볼 필요가 있다고 전문가들은 조언합니다.
변화의 흐름을 읽고 미리 준비하는 사람에겐, 일자리 기상도는 '맑음'일 수 있다는 얘기입니다.
지금까지 클릭 경제브리핑 최대환이 었습니다.
(KTV 한국정책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저작권자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