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안함 피격사건 이후, 전시작전통제권의 전환시기를 연기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돼 왔는데요, 북한의 2차 핵실험 후 전작권 연기 문제가 논의돼왔다고 유명환 외교통상부 장관이 밝혔습니다.
최근 천안함 침몰 사건으로 다시 촉발된 전시작전통제권 이양 시기 재조정 논란.
정례브리핑에 나선 유명환 외교통상부 장관은 정부 차원에서 이 문제가 재검토되고 있음을 부정하지 않았습니다.
구체적으로 북한의 2차 핵실험 후, 전작권 전환 연기 문제가 논의되기 시작했다고 밝혔습니다.
유 장관은 전작권 이양 문제는 전략적 전환체제를 이행하는 과정에서 주변상황을 염두에 두고 반영하는 것이라며 그런 관점에서 이해해달라고 말했습니다.
또 필요하다면, 26일로 예정된 한미 정상회담에서 이 문제를 의제로 삼을 수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천안함 사건의 안보리 대응과 관련해 정부의 목표도 확실히 밝혔습니다.
유 장관은 안보리가 북한의 무력 도발을 규탄하고, 재발방지를 촉구해야 한다며, 그 형식이 결의안이 될지, 의장성명이 될지는 안보리 논의 과정을 지켜봐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유 장관은 또, 안보리 조치에 중국과 러시아가 여전히 미온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지만, 협상 과정에서 입장이 달라질 수 있는만큼 외교적인 설득 작업을 계속하겠다고 강조했습니다.
KTV 이해림입니다.
(KTV 한국정책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저작권자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