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배너 닫기
비상진료에 따른 병·의원 이용안내 페이지로 바로가기 의대 증원 필요성과 의사 집단행동 관련 영상보기
본문

KTV 국민방송

지역 인재 양성 위한 '지역혁신사업' 확대 [정책인터뷰]

국민리포트 월~금요일 19시 40분

지역 인재 양성 위한 '지역혁신사업' 확대 [정책인터뷰]

등록일 : 2021.07.12

김태림 앵커>
지역 인재들이 계속 수도권으로 떠나면서 '지역 소멸'이라는 위기감이 커지고 있는데요.
정부가 지자체와 대학의 협력으로 지역 인재를 양성하는 '지역 혁신 사업'을 확대하기로 했습니다.
자세한 내용, 윤지혜 국민기자가 알아봤습니다.

(출연: 이지현 과장 / 교육부 지역혁신대학지원과)

◇ 윤지혜 국민기자>
지역 인재들이 수도권으로 떠나는 현상은 어제오늘 일이 아닌데요.
지역 인재를 양성하는 '지역혁신사업'이 올해 어떻게 추진되는지 알아보기 위해 교육부에 나와 있습니다.
지역혁신대학지원과 이지현 과장과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
안녕하세요.

◆ 이지현 과장>
안녕하세요.

◇ 윤지혜 국민기자>
먼저 지자체와 대학이 협력하는 지역혁신사업, 어떻게 해서 추진하게 됐는지 설명해 주세요.

◆ 이지현 과장>
취업과 정주 여건이 수도권으로 집중되는 상황에서 지역의 공동화는 급속히 진행이 되고 있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지방대학의 위기는 이런 지역의 위기를 단적으로 보여주는 일종의 사례가 아닌가 싶습니다. 그 지역의 기업에서 취업을 하고 그다음에 그 안에서 만족스러운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종합적인 처방이 필요하다고 생각을 합니다. 이 취지에 따라 대학 간의 공유와 동반성장의 가치 아래 인재를 양성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다음으로 대학과 기업이 각자 도생하는 것이 아니라 대학이 우수한 인재를 양성을 하면 그렇게 양성된 인재들을 지역의 기업들이 잘 흡수하고 지자체는 그 사이에서 중개자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다음으로 셋째는 대학혁신을 통해 지역혁신까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여러 다양한 기관 간의 협업의 판이 구축이 되어야 한다고 생각을 했고 그렇기 때문에 이 사업은 지역혁신 플랫폼을 구축하는 것을 지원을 합니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혁신은 철저히 지역에서 기획을 하고 성과를 내고 책임을 지는 구조이고 저희 중앙부처는 지역의 노력을 지원해주는 체제입니다.

◇ 윤지혜 국민기자>
지난해에는 경남과 충북, 광주·전남 등 4개 지역에서 지역혁신사업이 추진됐는데요. 주요한 추진 내용은 무엇이고, 어떤 성과가 있는지 소개해 주세요.

◆ 이지현 과장>
먼저 경남은 국내에서 최초로 지역 내 공유대학 모델인 University of Gyeongnam, USG 모델을 만들었습니다. 스마트 제조 엔지니어링, 그다음에 스마트 제조 ICT, 그리고 스마트 공동체 등의 3개 핵심분야의 혁신을 위해서 17개 지역 대학들이 힘을 뭉쳤는데요. 온라인 교육 인프라, 그리고 지역 내 기업들과의 협업 체계를 기반으로 해서 올해 2학기 때부터 학부생 300명을 대상으로 해서 융복합 교육과정을 개설해서 운영할 계획입니다. 이 과정을 이수하고 나면 지역의 NHN이나 LG 연구소와 같은 우수한 기업에 취업할 때 인센티브를 부여 할 수 있는 방안도 같이 강구 중이고요. 다음 충북은 국내에서 유일하게 바이오헬스 분야의 국가 메디컬시설, 6대 국책기관, 그리고 다양한 연구소와 기업이 집적된 지자체입니다. 이에 도내 15개 대학들이 이 지역 혁신 플랫폼을 계기로 바이오헬스 분야 육성을 위해 결집을 하고 있습니다. 미래 운송수단과 에너지 분야에 역량을 집중하고 있는 광주·전남의 경우에는 각종 공간혁신사업들과의 연계가 활발합니다. 국토부에서 현재 광역시 도심에 기업과 문화시설, 그리고 주거시설 등을 집적한 도심융합 특구 조성을 추진 중인데요. 대학의 캠퍼스도 들어가는 방안을 지역의 대학과 그리고 시가 협의를 하고 있습니다.

◇ 윤지혜 국민기자>
지자체와 대학이 힘을 모으는 지역혁신사업, 구체적으로 지역에 어떤 도움이 되는 건가요?

◆ 이지현 과장>
지방대학의 위기를 방치를 하게 되는 경우에는 단순히 지방대학의 미충원 위기를 넘어서서 폐교의 문제까지 문제가 확산될텐데요. 그렇게 되면 폐교 사례를 그간 여러 번 접해 왔는데 학생들은 학습권을 침해받게 되고, 지역의 교직원들은 일자리를 잃게 되고, 그 지역사회는 황폐화라고 칭해질 만큼의 상권과 활력이 저하됩니다. 그런데 이번 이 사업을 계기로 해서 지자체가 지역인재 육성을 총괄할 수 있는 권한을 가지고 지역 내에 이에 필요한 전반적인 협업체계를 구축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지자체가 대학과 함께 혁신의 성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핵심분야를 정해서, 대학을 졸업한 인재가 그 지역에 정착하도록 지원까지 하는 공조체제가 마련이 될 수 있습니다.

◇ 윤지혜 국민기자>
올해는 지역혁신사업 추진 지역으로 대전·세종·충남을 묶어 새로 선정됐는데요. 이 지역에서 추진되는 주요 사업은 어떤 것이 있나요?

◆ 이지현 과장>
올해 새로 선정된 대전·세종·충남 지역혁신 플랫폼은 미래 모빌리티 혁신 생태계 조성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구체적으로는 모빌리티 소재부품 장비 분야와 모빌리티 ICT 분야의 혁신에 역량을 집중합니다. 대전은 대덕연구개발특구 등 R&D 기반이 훌륭하고 충남은 전통적인 제조업 기반이 훌륭하게 갖춰져 있고 세종은 자율주행실증특구 등이 갖춰져 있습니다. 이러한 지역적 강점에 더해서 24개의 지역 내 대학들이 합심해서 연 3,000명 이상의 모빌리티 분야 핵심 인재양성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그중에 400명은 '대전·세종·충남 공유대학'을 통해서 배출될 예정입니다. 특히 현재 행복청과 세종시가 지역 국립대학들이 입주하는 세종 공동캠퍼스 설립을 같이 추진 중인데요. 이 플랫폼에서는 이 공동 캠퍼스의 시설과 공간 역시 지역에 공유하겠다는 계획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 외에도 대전도심융합 특구나 세종 스마트시티 또는 천안에 스타트업 파크 등 다양한 지역의 자원과 사업과 연계를 해서 기업의 경쟁력 강화와 청년들의 취·창업을 지원할 계획입니다.

◇ 윤지혜 국민기자>
울산과 경남은 통합돼 공동 사업이 추진된다면서요?
이 지역은 어디에 중점을 둘 계획인가요?

◆ 이지현 과장>
특히 울산은 훌륭한 산업적 기반은 갖추고 있으나 지역 내 고등교육기관이 울산대학교, 그리고 울산과기원을 포함해서 총 5개밖에 되지 않습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경남과의 협업이 이루어진다면 부족한 인력을 보다 더 잘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를 하고 있습니다. 이 울산·경남 지역혁신 플랫폼은 기존의 3대 핵심분야인 스마트 제조 엔지니어링, 스마트 제조 ICT, 그리고 스마트 공동체 분야에 더해서 '미래 모빌리티' 분야와 '저탄소 그린에너지' 분야를 추가했습니다. 이에 맞추어서 경남형 공유대학 USG도 USG+, 울산·경남형 공유대학으로 확대 개편이 되는데요. USG+는 공유 교육과정을 기존 3개 분야 6개 전공에서 5개 분야의 8개 전공으로 확대·개편하고 정원도 기존 300명에서 500명으로 확대할 계획입니다.

◇ 윤지혜 국민기자>
지역혁신사업이 확대되는 것은 반가운 일인데요. 지역 청년들이 자신이 사는 곳에서 일하면서 지역경제 활성화에 보탬이 되고 지역소멸위기라는 문제도 풀게 되길 기대해봅니다.
오늘 말씀 고맙습니다.

◆ 이지현 과장>
고맙습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