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배너 닫기
비상진료에 따른 병·의원 이용안내 페이지로 바로가기 의대 증원 필요성과 의사 집단행동 관련 영상보기
본문

KTV 국민방송

환경 보호·알뜰 소비 중시 '중고거래' 활기

국민리포트 월~금요일 19시 40분

환경 보호·알뜰 소비 중시 '중고거래' 활기

등록일 : 2022.12.13

김나연 앵커>
요즘 기후 위기와 고물가, 두 가지가 우리 사회에서 골치 아픈 문제가 되고 있는데요.
폐기 처리될 뻔한 이른바 구제 의류 판매와 온라인을 통한 중고거래가 그 어느 때보다 활기를 띠고 있습니다.
환경 보호와 알뜰 소비, 두 가지를 모두 생각하는 소비자들의 모습을, 최윤하 국민기자가 취재했습니다.

최윤하 국민기자>
('ㅎ' 구제 의류 매장 / 서울시 서대문구)
판매되지 않은 의류에게 두 번째 기회를 주는 이곳, 이른바 '구제 의류' 가게인데요.
빈티지한 느낌을 풍기는 옷들, 모두 새 제품이 아닌 재판매 제품이지만 사람들이 관심을 보입니다.

현장음>
"나도 이거 맘에 들어∼"
"너도 맘에 들면 사, 그냥..."

청바지부터 특이한 무늬의 넥타이까지 다양한 구제 상품, 이곳을 자주 찾는 청소년들은 무엇보다 가격이 저렴해 좋다고 합니다.

인터뷰> 이다연 / 고등학생
"보통 (가격을) 반값 밑으로 깎기 때문에 새 제품을 반값보다 싸게 산 적도 많고 그래서 전반적으로 괜찮았던 것 같아요."

자원 낭비를 막고 환경에 도움이 돼 찾게 된다는 이야기도 합니다.

인터뷰> 김효원 / 고등학생
"나도 좋고 환경도 좋고 일석이조의 효과를 낳는 거잖아요."

인터뷰> 손수빈 / 고등학생
"자연에도 도움이 되고 저한테 금전적으로도 괜찮은 것 같아서 앞으로도 애용할 것 같습니다."

우리나라에서 해마다 버려지는 옷은 무려 330억 벌, 기후 위기로 자원 재활용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고물가까지 겹치면서 구제 의류를 찾는 소비자가 늘고 있는데요.

인터뷰> 권예빈 / 경기도 성남시
"재킷이랑 바지도 구제로 산 옷들로 입고 왔는데 그만큼 평소에도 많이 이용을 하고 있습니다."

백화점 재고나 기증받은 구제 의류 가격은 임의로 정하는 상황, 특히 주말에는 방문객이 더 많다고 가게 주인은 말합니다.

인터뷰> 제이 / 'ㅎ' 구제 의류 매장 운영
"주말엔 (고객이) 1.5∼2배 정도 오는 것 같아요. 95%는 빈티지샵이라고 알고 오는 경우가 대부분이고요."

('ㅍ' 빈티지 소품 가게 / 서울시 서대문구)
이곳은 구제 소품 가게, 빈티지한 찻잔과 접시부터 머리 끈이나 가방까지 아기자기한 소품이 많은데요.
자신의 취향에 맞는 소품에 소비자들이 관심을 보입니다.

현장음>
"이거 빈티지 맞아? 완전 새것 같다∼"
"써봐, 좋아 보이네∼" "괜찮아?"

주말엔 최대 300명까지 찾는다는 이곳 가게, 환경을 생각하는 소비자들이 많이 찾는다고 가게 주인은 말합니다.

인터뷰> 김효미 / 'ㅍ' 빈티지 소품 가게 운영
"예뻐서 사 입었다가 오히려 환경을 생각하게 되는 그런 역으로 (구매 목적이) 전환되는 아무래도 그런 경우가 많아요."

이런 추세를 반영하듯 온라인 중고 거래도 활기를 띠고 있습니다.
온라인을 통한 국내 중고거래 시장은 지난 2008년 4조 원 규모에서 2020년에는 20조 원으로 5배나 크게 성장했는데요.
중고 앱으로 용돈벌이를 하는 MZ세대는 물론 중장년층까지 확산되는 추세입니다.

전화인터뷰> 이수진 / 서울대 소비트렌드연구소 연구위원
"중고거래가 온라인화되면서 플랫폼이 발달한 것이 가장 핵심적인 것 같습니다. 발견의 재미를 준다는 것도 소비 심리적으로 봤을 때 중고거래를 자주 이용하게 되는 대표적인 사례가 될 수 있겠죠."

중고 거래 앱을 활용하는 순 이용자 수는 올해 6월 기준으로 1천만 명, 전 세계적으로 지속되는 고물가 속에 중고 거래가 더욱 활기를 띨 것으로 전문가는 보고 있습니다.

전화인터뷰> 이수진 / 서울대 소비트렌드연구소 연구위원
"소비의 흐름이 바뀌면서 중고거래도 하나의 알뜰 소비라는 맥락을 같이 하고 있기 때문에 아무래도 당분간은 이 경제적 상황에서 지속력은 이어질 수밖에 없다고 보고 있습니다."

(취재: 최윤하 국민기자 / 촬영: 최미숙 국민기자)

중고거래가 이제 우리 사회에서 하나의 탄탄한 소비 형태로 자리매김하고 있습니다.

쏟아지는 새 제품들 속에 자칫 그대로 버려질 수도 있는 중고물품에 관심을 갖는 소비자들, 지구를 지키고 탄소중립 실현에 도움이 되는 알뜰 소비가 더욱 확산되길 기대해봅니다.

국민리포트, 최윤하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