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본문

KTV 국민방송

식량 자급률 높이는 전략작물직불제 시행 [정책인터뷰]

국민리포트 금요일 11시 40분

식량 자급률 높이는 전략작물직불제 시행 [정책인터뷰]

등록일 : 2023.02.13

배유정 앵커>
현재 우리가 먹는 밀과 콩은 대부분 수입에 의존하는 반면에 쌀은 과잉 생산되고 있는데요.
식량자급률을 높이고 쌀 수급 불안을 해소하기 위한 전략작물직불제가 올해부터 본격 시행됩니다.
정책인터뷰, 김세진 국민기자가 농림축산식품부 관계자를 만나 알아봤습니다.

(출연: 안유영 / 농림축산식품부 가루쌀산업육성반 과장)

◇ 김세진 국민기자>
정부가 마련한 전략작물직불제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농림축산식품부를 찾았습니다.
가루쌀산업육성반 안유영 과장님과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
안녕하세요.

◆ 안유영 과장>
네, 안녕하세요.

◇ 김세진 국민기자>
먼저, 전략작물직불제에 대해 오늘 알아볼 텐데요.
어떻게 이 제도를 시행하게 됐는지부터 설명해주세요

◆ 안유영 과장>
밀이나 콩같이 수요에 비해서 국내 생산이 턱없이 부족해서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쌀도 있고요. 소비량이 계속 줄어들면서 구조적으로 남아도는 상황입니다. 식량자급률을 향상시키고 저희가 구조적인 쌀 공급과잉을 해소하기 위해서 전략작물직불제를 도입하게 됐습니다.

◇ 김세진 국민기자>
그러면 현재 우리나라의 식량자급률은 어느 정도인지 그리고 앞으로 얼마나 높일 계획인지 설명해주세요.

◆ 안유영 과장>
2021년 식량자급률은 44.4%입니다. 밀은 1.1% 콩은 23.7%에 불과합니다. 우선 저희는 일반 쌀에 집중된 논을 가루쌀, 콩 생산으로 대폭 전환해서 올해 식량자급률을 48%까지 올리고 2027년에는 55.5%를 달성하는 것이 목표입니다.

◇ 김세진 국민기자>
올해부터 전략작물직불제가 시행되는데요. 그럼 어떤 제도인지 설명해주세요.

◆ 안유영 과장>
논을 활용해서 쌀 대신 전략작물을 재배하는 농업인분들을 지원하는 제도입니다. 전략작물은 식량자급률을 제고하고 쌀 수급 안정에 기여하는 가루쌀, 밀 콩, 조사료 등이 해당됩니다.

◇ 김세진 국민기자>
그렇다면 전략작물직불금은 어떤 대상에 지급하나요?

◆ 안유영 과장>
논에 전략작물을 재배하시는 농업인분들, 농업법인이면 신청하실 수 있는데요. 동계작물은 기존의 논 활용 작물과 동일합니다. 겨울이 밀, 보리와 같은 식량작물 또는 조사료를 재배하시는 경우에 받으실 수 있습니다. 또 여름에는 콩, 가루쌀 또는 하계조사료를 재배하는 경우에 전략작물직불금을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김세진 국민기자>
계절에 따라 지급되는 대상이 다르군요.
전략작물직불금은 얼마나 지원되는 것인지 궁금합니다.

◆ 안유영 과장>
네, 시기와 품목에 따라 다른데요. 1ha를 기준으로 했을 때 겨울작물은 50만원이고요. 그리고 여름작물로 콩, 가루쌀은 100만 원, 하계조사료는 430만 원을 저희가 지원합니다. 특히 이모작을 통해서 논 이용률을 높이시는 경우, 예를 들면 겨울에 밀을 재배하시고 여름에 가루쌀을 재배하시는 경우에는 100만 원을 추가로 지급해서 총 250만 원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

◇ 김세진 국민기자>
식량자급률을 높이는데 적극 참여하면 좋을 것 같다고 생각이 드네요. 그런데 계절이나 이모작에 따라 지원금이 다른 이유가 있을까요?

◆ 안유영 과장>
겨울에 밀이나 보리를 심는 경우는 논을 추가로 활용하시는 것이기 때문에 저희가 50만 원의 직불금을 드리게 되는 것이고요. 그리고 또 여름의 경우에는 전략작물을 재배하게 되면 벼를 재배할 수 없습니다. 그래서 소득 차이가 발생하게 되는데요. 따라서 여름에 재배하는 작물은 벼를 재배했을 때와의 소득차, 이 부분을 직불금으로 지원하게 됩니다.

◇ 김세진 국민기자>
그렇군요~ 오는 15일부터 직불금 신청 접수가 시작되는 걸로 아는데요. 접수 기간과 신청 방법에 대해서도 알려주시죠.

◆ 안유영 과장>
전략작물을 재배하는 농지 소재지의 읍면동 사무소에 하시면 됩니다. 말씀해주셨듯이 날짜는 2월15일부터 3월 31일까지 신청하셔야 됩니다. 읍면동사무소에 방문하시면 직불금을 신청하는 데 필요한 정보나 안내를 받으실 수 있습니다.

◇ 김세진 국민기자>
아무래도 새로 도입되는 제도다 보니까 궁금한 점이 많을 거 같아요. 이런 경우에는 어디로 문의를 하면 좋을까요?

◆ 안유영 과장>
우선 직불금 신청과 관련된 기본적인 문의와 관련해서는 지금 살고 계시는 읍면동사무소에 문의하시면 되고요. 더 구체적인 직불금을 받기 위한 준수사항, 이행 점검 등에 대해서는 국립농산물 품질관리원 공익직불 콜센터 1644-8778 번호로 문의하시면 됩니다.

◇ 김세진 국민기자>
마지막으로 이번 전략작물직불제를 통한 기대효과.. 어떻게 보시는지요.

◆ 안유영 과장>
첫째로는 밀, 콩과 같이 수입 의존성이 높은 품목의 국내 생산량을 높여서 식량 자급률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고요. 두 번째로는 구조적 공급과잉에 있는 쌀 수급량을 줄여서 쌀 수급 안정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세 번째로는 여름에 이어 겨울에도 식량작물을 생산하는 경우가 많아지기 때문에 논 이용률도 높아지게 되고요. 제일 중요한 마지막으로는 전략작물의 재배와 직불금을 통해서 농가 소득도 안정화될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 김세진 국민기자>
네, 이번 제도가 식량자급률을 높이는데 한 몫 톡톡히 하면 좋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오늘 말씀 고맙습니다.

◆ 안유영 과장>
고맙습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