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본문

KTV 국민방송

국립민속박물관 30주년, K-컬처 박물관 도약

국민리포트 금요일 11시 40분

국립민속박물관 30주년, K-컬처 박물관 도약

등록일 : 2023.02.24

배유정 앵커>
국립민속박물관이 경복궁 선원전 터로 옮긴 지 30년이 됐는데요.
이전 개관 30주년을 맞아 발자취를 돌아보고 새로운 비전을 보여주는 기념행사가 열렸습니다.
그 현장을 전해드립니다.

정의정 국민기자>
(국립민속박물관 / 서울시 종로구)
경복궁 향원정 뒤편 구 국립현대미술관에 있던 국립민속박물관이 1993년 2월 선원전 터로 옮겨 자리를 잡습니다.

현장음>
"당시 초청장이라던가 그때 전시 구성인데 지금 봐도 떨어지지 않아요, 굉장히 치밀하게 고민들을 해서 구성했고..."

1946년 민속학자 송석하 선생이 남산에 문을 연 국립민족박물관을 시작으로 한국민속관을 거쳐 지금에 이르는 80년 가까운 세월, 박물관사 현판과 사진 속에 민속박물관이 걸어온 여정이 담겨있습니다.

정의정 국민기자
"전시관 곳곳에는 한국문화의 과거와 미래를 이끌어 온 민속박물관의 역사를 고스란히 느낄 수 있습니다."

주요 인사들의 방문 사진들도 만날 수 있는데요.
이전 개관식에 참석한 노태우 전 대통령, 정월대보름 행사에 방문한 김대중 전 대통령, 방한 중 민박을 찾았던 빌 클린턴 미국 전 대통령 사진도 눈길을 끕니다.

인터뷰> 이관호 / 전 국립민속박물관 민속연구과장
"2000년도에 김대중 대통령이 (행사 때) 청와대부터 걸어서 이쪽 뒷문으로 오셨을 때 박물관에 관람객들이 발 디딜 틈 없이 꽉 찼었거든요."

국립민속박물관은 현재 위치로 이전한 후 30년간 국내외 관람객 6천만 명을 넘어서고 5만여 회의 교육과 300회가 넘는 기획과 상설 전시, 민속조사, 학술대회 등을 통해 우리 민속문화를 국내는 물론 지구촌에 알려왔습니다.

인터뷰> 이정희 / 해외문화홍보원
"세계문화 발전에 국립민속박물관이 큰 기여를 할 수 있겠구나 하는 것을 다시 한번 생각했고 영원했으면 좋겠습니다. (그 시대에) 같이 있었던 사람으로서요."

인터뷰> 조성민 / 전 국립민속박물관 민속기획과장
“요즘 인터넷이 많이 발달했고 우리나라의 위상도 높아져서 우리나라 문화를 세계적으로 (알리고) 특히 아이돌이나 문화콘텐츠가 많이 있으니까 민족 문화로서 민속박물관이 크게 기여하게 될 것으로...”

국립민속박물관은 지난 30년간 소장품이 4만 9천 점에서 17만 점으로 늘었고, 보유한 아카이브도 100만여 점에 달하는 문화유산 수장고인데요.
앞으로 서비스가 다양화됩니다.

인터뷰> 김종대 / 국립민속박물관장
"지금까지는 저희가 소장하고 있는 유물을 원소스로 제공을 많이 했습니다. 유물이 갖고 있는 의미나 기능들을 저희 박물관이 더 잘 알거든요. (앞으로도) 그런 것까지 가공을 해서 콘텐츠로 제공하겠다..."

국립민속박물관 이전 30년을 기념하는 자리, 지나온 30년을 돌아보고 앞으로 나아갈 30년의 미래 비전 '민속에 상상력을 더하는 K-Culture 박물관'으로 도약을 다짐합니다.

현장음> 전병극 / 문화체육관광부 제1차관
“2021년 종합 민족 자료 센터의 상징이 된 파주 수장고 센터까지 그동안의 발자취는 민족 문화의 요람 그 자체였습니다. 국제사회 속 대한민국 브랜드가 되는 K-컬처의 뿌리인 한국 민속문화와 우리 전통 문화유산의 가치를 국립민속박물관이 재발견하고 확장해 나가는 데 함께 한다면...”

(취재: 정의정 국민기자 / 촬영: 이정임 국민기자)

이곳은 옛 전통을 모아놓은 보물창고와 같았는데요.
우리 삶과 전통을 모아놓은 보물창고 같은 국립민속박물관이 새로운 미래 전략을 통해 한국 문화의 위상을 높이는 한류 박물관으로 발전하기를 기대합니다.

국민리포트 정의정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