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유가격이 배럴당 60불에 접근했다. 석유가격의 상승은 일시적인 현상이
아니라 향후 100불까지 상승할수 있다는 예측이 나왔다.
대부분의 에너지원을 수입하는 우리로서는 아주 심각한 상황이다.
더군다나 전 세계의 인구의 약 반을 차지하고 있는 중국과 인도의 경제발전
도 애사롭지 않다. 중국과 인도의 계속적인 경제발전으로 국민들의 살림살
이가 나아질 경우 석유의 사용량은 증가될것이고, 전 세계의 석유를 블랙
홀 처럼 무진장 자국으로 사 드릴것이며, 그러면 석유 값의 폭등은 누구
나 예견할수 있을것이다.
이처럼 석유의 사용량이 증가하지만 우리가 수입하고 있는 석유나 석탄과
같은 에너지자원은 전 세계적으로 한계점에 와 있을 뿐만 아니라 일부 지
역에 편중되어 있어서 세계 각국은 에너지원의 확보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세계 에너지원의 사정이 악화되어 공급이 중단되거나 가격이 급등한다면
우리의 일상생활은 물론 산업시설 등의 마비로 국가적 위기상태가 올 것은
너무도 자명한 일이다.
또한 석탄 에너지 의존도를 낮춰야 한다. 왜야하면 교토의정서 협약 때문이
다.
우리와 비슷하게 대부분의 에너지를 수입하고 있는 일본의 경우 원자력발
전 의존도를 높임으로써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점점 줄여가고 있는 추세이
다.
원자력발전은 자원에 크게 의존하지 않는 기술집약적 에너지원이다.
부존자원이 부족하지만 우수한 인력이 풍부한 우리나라로서는 크게 개발할
필요가 있는 에너지원이 바로 원자력발전이라 생각한다.
또한, 원자력발전에 사용되는 원전연료는 단위무게당 발생시키는 에너지량
이
다른 에너지보다 월등히 우수하다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수송이 유리하
고
연료의 비축효과가 매우 커서 유사시 외국으로부터 연료공급이 차단되는
어려운 상황이 닥치더라도 상당기간 동안 버틸 수 있는 에너지 안보상의
장점을 가지고 있다.
우리나라는 머지않은 장래에 조국통일의 기쁨을 누릴지도 모른다.
이때를 대비해서라도 값싸고 안정적인 대용량의 에너지를 만들어야 하며
이 대안으로 원자력발전이 현 시점에는 가장 이상적인 에너지라고 생각한
다.
따라서 원자력발전에 꼭 필요한 중.저준위 폐기물 처리장의 설치는 시급하
게 추진되어야할 국정과제중의 하나라고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