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본문

KTV 국민방송

더위에 젖소도 지쳤다···"농가 폭염 피해 최소화"

KTV 대한뉴스 월~금요일 19시 00분

더위에 젖소도 지쳤다···"농가 폭염 피해 최소화"

등록일 : 2025.07.04 20:09

김경호 앵커>
폭염으로 힘든 건 가축도 마찬가지입니다.
젖소는 우유 생산이 줄고 닭과 오리는 줄폐사하고 있는데요.
농가 피해를 막기 위해 정부도 대책 마련에 나섰습니다.
계속해서 최유경 기자의 보도입니다.

최유경 기자>
(충북 청주)

130여 마리의 젖소를 기르는 축사입니다.
더위에 늘어진 소들이 가쁜 숨을 고릅니다.
온도를 낮추려 대형 팬을 돌리고, 지붕에 단열 페인트를 칠해도 봤지만 역부족입니다.

녹취> 정통일 / 축사 주인
"더울 때 헉헉대죠. 얘네들이 피부로는 (체온 조절이) 잘 안되니까."

폭염에 애타는 건 다른 축사도 마찬가지.
최근 우유가 줄기 시작했고, 두 마리는 유산됐습니다.

녹취> 최병일 / 축사 주인
"우유량도 많이 줄었어요. 한 20% 줄었어요."

기력을 잃은 탓에, 먹는 양이 눈에 띄게 줄었기 때문입니다.

최유경 기자 ch01yk@korea.kr
"쉴 새 없이 물을 뿌리고는 있지만 더위를 식히기에는 역부족입니다. 입맛을 잃은 소들이 많은데요. 아침이면 동났어야 할 먹이가, 점심이 지나도 그대로입니다."

닭과 오리, 돼지 등 다른 가축은 폐사도 잇따르고 있습니다.
최근 일주일 내 접수된 폐사 신고는 전남에서만 3만4천여 마리, 경북은 1만6천 마리가 넘었습니다.

농업분야 폭염 예방 대책회의
(장소: 4일, 농식품부)

축산 등 폭염으로 인한 농가 피해 확산이 우려되는 가운데, 정부가 대책 회의를 열었습니다.
농업인 안전과 농·축산 등 농업분야별 예방 상황을 점검했습니다.

녹취> 강형석 / 농림축산식품부 차관
"폭염이 되면 인명피해라든지 농축산물 피해가 큽니다. 인명피해를 막는 게 가장 큰 목표고요. 재산 피해도 막아야 합니다."

정부는 가축 폐사를 막기 위해 환기, 차광 등 축사에 필요한 조치를 이행해 줄 것을 당부했습니다.
농업인 온열질환 예방을 위해서는 농작업 시 충분한 수분섭취와 휴식이 중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영상취재: 이수경 김은아 / 영상편집: 최은석 / 영상그래픽: 민혜정)
또 농작물은 생육관리협의체를 통해, 배추 등 폭염 피해가 컸던 채소류를 위주로 선제적인 수급 안정 대책을 추진하기로 했습니다.

KTV 최유경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KTV 대한뉴스 (1744회) 클립영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