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천익창복원 신라금(新羅琴:시라기고토)
* 서론부분
가야국, 가실왕, 우륵을 떠올리는 가야금은 1200년전 일본( 823년 나라시대
[奈良時代])으로 건너가 현재 정창원(正倉院)에 소장되어 신라금(新羅琴:
시라기고토)이라 부르고 있으며, 국내에선 천익창에 의해 2004년 연구복
원, 발표 되었다. 약 1백여년전 부터 연주되고 있는 현재의 산조가야금과 또
한 정악가야금과는 여러가지 차이점을 발견할수 있는데 연구복원된 신라금
과 현재의 산조, 정악가야금과의 차이점을 비교하자면
복원완성된 악기의 연주형태와 사용가능 실험에서 경주 미추왕릉지구에서
발굴된 국보 195호 5~6세기 토우장식 항아리의 가야금 연주자세와 그 이전
(196-229 신라 물계자[勿稽子]가 금곡[琴曲]작곡, 458-479 신라 백결선생
이 아내를 위해 금곡[琴曲]방아타령 작곡)것으로 추정되는 가야금 몸통이
잘룩한 주악토우 여러개에서 보여지는 연주자의 연주 자세와 형태가 일치
됨을 확인 할수 있었다.
이러한 방법은 곧 신라토우의 미스터리와 정창원 소장 신라금의 미스터리
가 모두 풀려지는 계기가 되었다.
* 본론 부분
현재 우리가 일반적으로 알고있는 정악, 산조가야금과의 차이점이라면 줄
조임(조율) 구조, 작은키 구조의 안족(雁足)의 형태, 빼고 끼우기가 편리한
독립된 안족, 배열 또한 일렬식이 아닌 구조, 발톱이 없고 바닥에 놓을수 없
는 악기의 구조, 곡선형 양이두(羊耳頭) 로 인한 벽면에 세울수 없는 구조,
악기의 몸통에 줄이 달려있는 구조, 공명홈에 다섯단계의 줄 조절 구조물
과 들고 이동할때 잡을수 있는 구조물, 댕기모양의 길다란 부들의 늘어짐,
등은 현재 전통 국악인 들이 선호하는 조선시대 복장과 관모, 갓쓴 머리장
식으로는 이해될수 없는 부분이며, 신라금 미스터리 이해에 복식과 신라시
대 머리모양과 함께 이해 되어야 할 부분이다.
산조음악의 창시자 김창조(1856~1919)이후 현재 사용하고 있는 가야금의
연주자세와 악기의 휴식, 보관자세에 많은 차이점을 가지고 있다
가야, 신라시대 주악토우에서 발견되는 가야금 중앙부 연주 자세, 가야금
반 수직식 연주자세, 연주시 바닥에 닫지 않고 악기가 들려진 형태나 정창
원 소장의 줄달린 신라금은 주법에 있어서도 많은 차이점을 가지고 있는데
현재의 정악가야금 처럼 엄지(母指)의 사용이 지금과 같지 않았고, 옥타브
주법 또한 같지 않았으며, 왼손 농현의 주법 또한 퇴성의 주법을 쓰지 않았
으며, 농현 또한 수직적 주법보다 앞뒤로 흔드는 주법과 손으로 반복하여
꺽는 주법을 사용하였다.
조현 또한 하림조, 눈죽조가 있었다고 하나 한자보(漢字譜)인 정간보(井間
譜)가 조선시대 한글을 창안한 세종(조선 제4대 왕, 재위 1418∼1450)이 동
양에서 창안한 가장 오래된 악보(樂譜)라는 것으로 보아 그 실체를 확인하
기 어렵다.
* 결론 부분
신라문화 이후 신라의 가얏고(신라금: 新羅琴)는 이와 같이 변질, 훼손, 변
화, 진화 되었고 연주를 할때나 연주를 하지 않을때 어느때나 가야금을 바
닥에 내려놓지 않을려고한 가야, 신라인 들의 가야금 사랑을 확인 할수 있
었으며, 일본 정창원 소장 신라금(823년)과 5~6세기 미추왕릉지구발굴 토
우장식 항아리의 가야금의 모양이 일치하는 것으로 보아 그 4분의 3 크기
의 다른 여러개의 가야금 주악토우를 볼때 우륵 이전 수세기 전부터 한반
도 남부에 이미 가야금은 존재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이와 같은 발견은 정창원 소장의 신라금을 완벽하게 복원하는 과정과 신라
토우에서 발견되는 의상, 댕기, 상투의 복원 재현 함으로 당시 신라인들의
가야금 연주자세, 악기 사용법등 당시 가야금을 이해하고 지금까지의 신라
악기, 자세들의 미스터리가 모두 풀려지게 되었다.
이번 천익창의 신라금 연구복원은 전통문화의 막연한 시대별 구분에 좀더
명확한 구분에 도움을 줄 것이며 또한 우리의 소중한 문화 유산으로 소중
히 보호, 보존, 공개(홍보) 되어야 할 것이다.
* 천익창 포토앨범(일본 정창원 신라금, 신라시대 주악 토우, 신라시대 의
상, 천익창복원 신라금)
http://album.paran.com/hyc53
* 신라금 관련 기사모음
http://iboard2.superboard.dreamwiz.com/board.cgi?
db=28_dwhyc53noti251&idx=131&page=1
* 천익창 연구실: 018-856-0713. E-mail: hyc53@dreamwiz.com
* 천익창 개량악기 홈페이지 http://my.dreamwiz.com/hyc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