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본문

시청자의견

소비자의 현명한 선택이 우리쌀을 지킨다.

글자확대 글자축소
작성자 : 전근환(전근환**)
등록일 : 2005.01.08 05:56
소비자의 현명한 선택이 우리쌀을 지킨다.



□ 수입쌀은 우리의 생존권을 위협하고 있다.



2004년 쌀재협상은 향후 10년간 관세화 유예 조건으로 의무 수입물량을 국
내소비량의 8%까지 확대하는 것은 물론 단계적으로 수입쌀 30%을 시중에
판매하는 것으로 결론이 났다.



농업인들과 농민단체에서는 재협상 무효를 주장하고 국민의 여론을 수렴하
여 다시 협상할 것을 강력하게 요구하고 있으나 농업인들의 처절한 외침은
외면되고 있는 현실이 가슴아프다.



수입쌀이 시중유통에 될 경우 국내쌀 가격과 생산농가 미치는 영향은 엄청
난 태풍으로 생산농가의 생존권을 위협하고 국내쌀 시장 질서를 교란하여
종국에서는 국민들의 보건과 삶의 질까지 박탈해 갈 것이다.



□ 쌀을 무기화 하려는 국제적인 음모



쌀 개방 압력은 WTO·FTA 등 국제통상 질서를 벗어나 불시적으로 도래할
수 있는 재난과 재앙으로 인하여 부족한 식량을 무기화하려는 열강들의 음
모가 도사려저 있다. 지진·해일, 이름하여 쓰나미로 인하여 남아시아에서
는 일찌기 인류가 겪어보지 못한 재앙으로 15만명이 넘는 사망자와 100만
이 넘는 이재민이 고통받고 있다. 우리는 안전하다고 장담할 수 있는가?



갈수록 악화되고 오염되고 있는 지구촌의 기후환경은 세계의 식량 생산기
반을 한순간에 괘멸시킬 수 있는 개연성을 갖고 있다. 미국의 경우 쌀을 주
식으로 하지 않으면서도 쌀재배 농가에 막대한 보조금(1㏊당 100만원)을 주
면서 쌀생산을 장려하고 있다. 만약의 경우를 대비하고 있는 열강과 한치앞
도 구분 못하는 우리의 입장이 너무나도 대조적이다.



우리나라의 경우 80% 이상의 식량을 사 먹는 세계최대 식량수입국이다. 자
급율이 쌀을 제외하면 5%도 안되어 만약의 경우 세계적인 식량위기에 봉착
하면 당장 국민들의 생사가 문제가 된다. 쌀문제는 농업인들의 생계와 생존
의 문제가 아니라 전국민들의 사활이 달려있는 심각한 문제가 아닐 수 없
다.



□ 쌀에 대한 국내의 왜곡된 언론보도

국내의 주요언론들과 쌀개방론자들은 우리쌀의 가치에 대한 적확한 분석
과 소비자홍보를 왜면한 체 단순한 국제가격만 가지고 경쟁력이 없다고 현
상을 왜곡시키고 있으며 그동안 일년에 200조원에 가까운 정부예산 중 5%
도 안되는 경상적인 지원만 해왔음에도 농업에 10년 동안 70조원을 퍼붓어
쓸데없이 국민의 혈세를 탕진하고 추가로 119조원를 지원하려 한다고 정부
를 비난하고 있다.

우리는 매년 3천만석 이상의 쌀이 필요하고 적정 재고가 1천만석 이상이 확
보되어야 함에도 쌀보관·관리비가 막대하게 들어가고 있다고 호들갑 떨고
이를 호도하고 있다.

특히 쌀개방이 안되면 수출도 할 수 없게 되고 원시적인 자급자족 해야 한
다는 황당한 말들을 지금도 서슴치 않고 있다.


쌀은 외국에 비하여 비싸다고 하면서 값싼 밀가루로 만드는 햄버거,빵,과
자 등에 대한 높은 소비자 가격은 아예 거론하지 않은 행태는 반드시 개선
되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국민들의 건강과 직결하여 서구적인 식생활과 패스트푸드의 만연은
비만을 심각하게 유발하는 요인임으로 이것에 대한 대책마련과 우리쌀 소
비촉진에는 소홀히 하는 연유가 무엇인가 묻고 싶다.



□ 소비자들의 선택에 달려 있는 농민들의 생존권



지금 가장 시급한 것은 국민들과 소비자들의 우리쌀에 대한 올바른 인식이
다. 일본의 경우 수입쌀을 소비자들이 거의 사용하지 않는다. 자국쌀에 대
한 소비자들의 확고한 인식과 생산·보관·가공·유통 단계가 투명하여 생산자
와 소비자들의 신뢰도가 이미 정착이 되었다.



우리는 그동안 쌀수입개방 반대에 만 급급하면서 10년을 허송세월로 보냈
다. 농가에서는 친환경 고품질쌀 생산에 엄청난 투자와 노력을 기울여 상당
한 진척과 함께 이제는 본격적으로 세계최고 수준의 밥맛 좋은 쌀이 생산되
고 있음에도 소비자들에게 홍보가 부족하여 좋은 쌀은 고르는 변별력이 갖
춰져 있지않은 현실은 안타까울 따름이다.



□ 세계 최고수준의 친환경·고품질 전남쌀



전라남도와 전남농협 그리고 농업인들은 그 동안 쌀 수입개방에 대비하여
세계최고의 밥맛을 자랑하는 경쟁력 있는 쌀 생산에 혼신의 노력을 다하였
다. 오염되지 않은 천연의 쌀재배환경을 바탕으로 매년 2,000㏊ 이상의 논
에 자운영을 재배하여 친환경에 걸맞은 지력증진과 함께 가장 밥맛이 뛰어
난 벼품종을 3~4개 이내로 선발하여 농가와 계약재배하고 전량을 산물수
매 후 철저한 보관·관리와 유통에 최선을 다 해왔다.



그 결과 농림부와 한국소비자단체협의회가 평가한 전국최우수브랜드쌀에
우리 전남은 '2년 연속 최다선정도'에 뽑혔다. 특히 가장 중

프로그램내 인기영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