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 성현들이 남긴 학문
맛있는 음식도 한 입에 모두 넣고 씹으면 참다운 맛을 알 수 없다.
이처럼 옛 성현들이 남긴 학문이라고 하여 모두 받아들이는 것보다는
한 가지라도 그 뜻을 살려 잘 받아들이는 것이 더 유익하다.
----------------------------------------
(이율곡)조선시대의 유학자.(1536~1584년) / - 소년 한국일보 마음 등대 -
/
----------------------------------------
낱말풀이
1)맛있는-맛있어-맛있다[마신는-마시써-마시따]=맛이 좋다.
맛=1.음식 따위를 혀에 댈 적에 느끼는 감각. 예)음식 맛이 좋다. 2. 체험을
통해서 알게 된 느낌. 예)인생의 쓴 맛 단맛/새로운 맛.
2)음식(飮食마시다 밥) ; 사람이 먹고 마시는 것.
3)한=1. '하나'의 뜻. 예)한 개. 2. '대략'의 뜻. 예)한 천명. 3. '같다'는 뜻.
예) 한 학교에 다니다. 4.'어떤''어느'의 뜻. 예) 한 착한 학생이 있었다.
4)입=1. 몸 안으로 음식을 넣으며, 소리를 내는 기관. 2.말할 때 놀리는 입버
릇. 3.남의 말·소문. 예)남의 입에 오르내리다.
5)모두=여럿이 다 함께. 예)모두 반대다. 비슷한-전부.
6)넣고-넣다[너코, 너타-거센소리] 1.속으로 들여보내다. 예)돈을 지갑에
넣다. 2.끼우다. 예)은행잎을 책갈피에 넣다. 3. 단체나 학교·직장 따위에 다
니게 하다. 예)아이를 유치원에 넣다.
7)씹으면-씹다[씨브면-씹따] 1. 입에 넣고 이로 자꾸 깨물다. 예)껌을 씹
다. 2. 남을 나쁘게 말하다. 예)친구를 씹다.
8)참다운-참답다=거짓이 없고 참되다. 활용)참답고/참다우니/참다워서/참
다운/참다웠다.
9)알-알다=1.모르던 것을 깨닫다. 예)잘못을 알다. 2. 서로 낯이 익다. 예)
잘 아는 아이. 3)생각하여 판단하고 분별하다. 예)자신을 알다. 4.관여·관계
하다. 예)내 알 바 아니다. 활용/알고/아니/알아서/아는/압니다/알았다.
10)수 ; 1.어떤 일을 처리하거나 해결하는 수단이나 방법. 예)약을 쓸 수밖
에 없다. / 좋은 수가 있다. 2.일을 할 만한 힘. 예)할 수 있다.
11)없다[업따] ; 1. 남지 않다. 예)다쓰고 없다. 2.가지지 않다. 예)돈도 없
고 집도 없다. 3. 가난하다. 예)없는 살림.4. 죽고 살아 있지 않다. 예)부모
가 없는 아이. 5.있지 아니하다. 예)구름 한 점 없는 하늘.
12)옛; 지나간 때의. 옛날의. 옛날[옌-] 옛 시대. 옛적의 날. 비; 옛적. 반;
지금.
13)성현(聖賢성스럽다 어질다)=덕망이 높고 어진 사람. 예)옛 성현들의 가
르침을 따르다.
14)남긴=남기다-1. 나머지가 있게 하다. 예)밥을 왜 남기니. 2. 남아 있게 하
다. 예)고향에 부모님만 남기고 떠나다. 3. 이익을 보게 하다. 예)이익을 많
이 남기다.
15)학문(學文배우다 무늬)[항문]1.배워서 익힘. 배우고 익힌 지식. 예)학문
에 뜻을 두다. 2.체계가 선지식. 비슷한-학술.
16)받아들이는 = 받다 들다 이는
17)받다[받따]-1.주는 것을 가지다. 예)장학금을 받다. 2. 남에게서 자기 몸
에 가하여지다. 예)존경을 받다. 3. 던지거나 떨어지는 것을 잡다. 예)공을
받다.
18)것 = 사람이나 사물의 이름 대신으로 쓰이는 말. 예)어린 것/새 것과 헌
것.
19)뜻=1. 마음에 품은 생각. 예)뜻을 세우다. 2.글이나 말이 품고 있는 것.
예)낱말의 뜻을 풀이하다. 비슷한-의미. 발음-뜻이-뜻도 -뜻만[뜨시-뜨또-
뜬만]
20)살려-살리다=1. 어떤 부분을 덜어 내지 않고 본바탕대로 두든지, 좀 보
태든지 하다. 2. 활용하다. 예)경험을 살리다.
21)잘- 1. 옳고 바르게. 예)마음을 잘 써라. 2. 훌륭하게 예)잘 쓴 글씨. 3.탈
없이. 편하게. 예)잘 가시오. 4. 만족하게. 예)잘 먹었다. 5.적절하게. 예)마
침 잘 왔다. 6.버릇으로 늘. 곧잘. 예)그 집에 잘 놀러 간다.
22)유익하다-유익(有益있다 더하다)[유이카다] 이로움이 있음. 도움이 되
는 데가 있음. 예)유익한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