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국가기념식 모아보기
본문

시청자의견

[시사풍향계―이문한] 왜 방폐장 유치를 건의하나

글자확대 글자축소
작성자 : 펀글(펀글**)
등록일 : 2004.01.12 18:25
[시사풍향계―이문한] 왜 방폐장 유치를 건의하나


국민일보 1/12 기사발췌

원전 수거물 관리시설에는 원전 작업자가 사용하였던 작업복,휴지,덧신,장
갑 그리고 폐부품 등의 수거물을 보관한다. 방사성 동위원소는 생명공학 연
구에 유용하고 병원에서도 진단과 치료 목적으로 일상적으로 이용하고 있
다. 여기에서 발생하는 폐기물인 장갑,휴지,시험관,피펫,주사기 등도 이 시
설에 보관하고 있다. 동위원소를 사용하는 실험실과 병원 등에서 방사성 안
전 교육을 받은 연구원들이 별 두려움 없이 안전하게 사용하고 있다. 이들
수거물을 잘 취급하고 보관한다면 별로 문제될 것이 없다.

원자로에서 발생하는 사용 후 연료(폐연료봉)는 고준위 방사성 물질을 함유
해 그 자체는 매우 위험하다. 이를 재처리하여 원전 연료로 재활용할 수도
있으나 경제성이 없을 뿐만 아니라 국제협약에 의하여 우리 나라에서는 재
처리할 수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TV에서 흔히 보는 북한 핵재처리시설처
럼 물 속에 중간 저장하였다가 동굴이나 특수시설에 영구 처분할 수밖에 없
다. 정부는 이 시설을 2016년까지 완공할 예정이다. 사용 후 연료도 다른 수
거물과 함께 원자력발전소에서 아직까지는 안전하게 보관하고 있다.

고리 영광 울진 그리고 월성의 원전에서 보관하고 있는 중·저준위 수거물
은 원전에 따라서 2008년에서 2014이면 완전히 포화되고,사용 후 연료는 현
재보다 더 조밀하게 보관할 경우 2016년이면 포화된다. 원전 수거물 관리시
설을 건설하는 데는 건설 공정만 4∼5년이 족히 소요될 터이니 시간이 많
지 않다. 우리 나라는 세계 6위의 원전운영국이고 원자력에 의하여 국내 총
전력의 40%를 공급받고 있다. 우리 모두는 원자력의 수혜자다. 그리고 가
장 위험한 사람은 원전 종사자이고 그 다음이 주변 주민이다.

본인은 지난 30년간 식품위생 분야에 대하여 연구해왔다. 1970년대 중반 식
량 자급이 최우선일 때 식품안전성 분야는 그야말로 찬밥 신세였고,더러는
오죽 할 일이 없어 이런 연구를 하느냐고 비난받기도 하였다. 원자력 발전
을 부정하는 분이 어쩌면 30년 후에 본인과 똑같이 넋두리할 지도 모르겠
다. 악성 조류 독감이 만연하고,미국에서 소 한 마리가 광우병에 걸렸다고
보도되면서 너도나도 닭고기,오리고기,쇠고기 먹기를 꺼리는 시대에 살고
있다. 이 여파로 육류시장의 유통은 왜곡되고,보이지 않는 무역전쟁이 시작
되고 있다. 작금의 원전 수거물 처리시설과 식품안전성과 관련한 사태를 접
하면서 소비자 교육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절감하게 되었다. 그리고 미국을
비롯한 이른바 선진국에서 정책 홍보와 소비자 교육에 심혈을 기울이는 이
유를 알 것 같다.

원자력은 평화적으로 이용한다 하더라도 커다란 위험을 내포하고 있는 것
이 사실이다. 식품 또한 식중독의 위험을 내포하고 있다. 정부는 그 유익성
과 위험성을 비교하여,위험성을 감당할 가치가 충분한지 아니면 한시적으
로라도 불가피한 선택인지에 대하여 명확히 하여야 할 것이다. 유익성과 위
험성은 경제적인 측면에서만 다룰 것이 아니라,시간적 공간적 그리고 사회
문화적인 개념도 포함하여 판단하여야 할 것이다. 위험성이 있다고 모두 위
험한 것은 아니다. 이를 잘 관리하면 위해도를 낮출 수 있다.

서울대 교수들이 원전 수거물 관리시설을 관악 캠퍼스의 지하에 유치하자
고 제안한 이유는 현재의 과학기술이 원자력의 위해도를 충분히 낮출 수 있
다고 판단했기 때문이고,그 다음은 우리 대학 관련 전문가들이 위험한 일
이 발생하지 않도록 잘 관리해 줄 것으로 믿기 때문이다. 만약 원전 수거물
처리시설이 적기에 갖추어지지 않는다면 우리 대학 병원과 연구실에서 발
생하는 수거물을 처리하기 위하여 어차피 우리 대학 구내에 그 시설을 마련
할 수밖에 없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우리는 국가와 사회로부터 혜택을 받
고 있는 수혜 집단의 하나로서,더 이상 국가의 큰 숙제이자 짐이 되고 있는
원전 수거물시설 유치 문제를 외면할 수가 없어 그 위험을 우리가 감내해
보자는 데 뜻을 같이 하였기 때문이다. 학내외 이해 당사자 여러분의 의견
을 널리 수용하지 못한 점,그리고 총장께 큰 짐을 지운 점에 대해서는 송구
스럽다고 말씀드린다.

환경단체가 원전 수거물시설 건설에 반대하는 이유는 좀더 안전하고 친환
경적인 에너지 정책으로 전환해 줄 것을 요구하는 것으로 이해하고 있다.
건전한 비판과 합리적인 반대는 국가 발전의 또 다른 축으로 기능할 수 있
을 것이다.

이문한(서울대 수의대 학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