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서 전해드린대로 북한의 지뢰도발과 서부전선 포격 도발로 촉발된 한반도 긴장 상황을 논의하기 위한 남북 고위급접촉이 밤샘 회담 끝에 오늘 새벽 정회됐습니다.
남북은 오후 3시에 다시 만나 논의를 이어갈 계획인데요.
취재기자 연결해서 자세한 내용 알아봅니다.
유진향 기자 소식 전해주시죠.
기자> 유진향 / 정부서울청사
네, 어제 오후 6시 30분부터 시작된 남북 고위급 접촉은 잠시 숨을 고르고 있습니다.
10시간 가까이 이어진 밤샘 협상은 오늘 새벽 4시가 넘어서 정회됐는데요.
남북은 1차 접촉 결과를 토대로 오후 3시부터 협상을 계속 이어갈 예정입니다.
이번 고위급 접촉의 최대 의제는 북한의 DMZ 지뢰 도발과 서부전선 포격 도발로 인한 군사적 긴장 문제입니다.
우리 정부는 북측에 지뢰 도발에 대한 사과와 재발 방지 약속을 북측은 우리측에 대북 확성기 방송 중지와 한미연합훈련 중단 등을 요구했을 것으로 관측됩니다.
하지만 북한이 잇따른 도발에 대해 남측의 조작극 이라며 자신들의 소행을 부인해 왔기 때문에 북측의 사과를 얻어내기가 쉽지 않을 것으로 보입니다.
남북은 군사적 문제 외에도 남북 간 관심 있는 사안들에 대해 포괄적으로 논의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이산가족 문제를 비롯해 금강산 관광 재개, 5.24 조치 해제 등이 주요 의제에 대해 서로의 입장을 확인했을 것으로 보이는데요.
청와대 민경욱 대변인은 새벽 긴급 브리핑에서 양측은 이번 접촉에서 최근 조성된 사태의 해결 방안과 앞으로의 남북관계 방향에 대해 폭넓게 협의했다고 밝혔습니다.
양측 대표단은 회담 과정에서 여러 차례 쉬는 시간을 갖고 서울과 평양으로부터 훈령을 받은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10시간 가까운 협상에도 최종 합의문을 도출하지 못한 것으로 봐선 양측의 입장차가 워낙 컸을 것이란 분석인데요.
오후 접촉에서도 합의를 이뤄내지 못하고 결렬된다면 군사적 긴장은 더 악화될 가능성이 큽니다.
하지만, 남북이 대화의 끈을 놓지 않고 2차 협상을 앞두고 있는 만큼 의미 있는 합의문이 나올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습니다.
결국 2차 접촉에서 서로가 얼마나 진전된 입장을 내놓느냐에 따라 협상 결과가 달라질 것으로 보입니다.
2차 접촉에서도 우리측에서는 김관진 청와대 국가안보실장과 홍용표 통일부 장관이 북측에서는 황병서 군 총정치국장과 김양건 노동당 비서가 대표로 나섭니다.
지금까지 서울정부청사에서 전해드렸습니다.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