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C>
청년실업 해소를 위해 정부가 대학가 창업활성화에 소매를 걷어붙이고 나섭니다.
우선 대학 창업활성화 방안의 하나로 창업중심의 교육 과정과 학사제도를 마련하고 창업자금을 확대 지원하게 되는데요.
대학을 혁신과 창업의 중심지로 집중 육성하기 위한 방안, 교육부 취업창업 교육지원과 최승복 과장에게 들어봅니다.
1.
고용없는 성장시대 어떻게 극복할 수 있을까요?
이번 대학발 창업활성화 방안이 나온 추진 배경부터 말씀해주신다면?
2.
현재 국내 대학가 창업 현황은 어느 정도 일까요?
3.
뭐니뭐니해도 창업의지를 가진 인재 양성이 가장 큰 관건일 듯 싶습니다.
창업 인재양성을 위해서는 대학교육의 패러다임에도 변화가 필요하지 않을까요?
4.
카이스트의 창업 맞춤형 교육과정도 확대 된다고 하는데요.
어떤 내용일까요?
5.
대학은 연구의 산실 기관이죠.
대학내 기술을 사업화하는 과정도 많은 지원이 필요할 듯 싶은데요.
어떤 지원 내용이 확대될까요?
6.
'대학창업 펀드'에 대한 관심이 뜨겁습니다.
재원 마련을 위한 대학창업 펀드 조성 방안과 프로그램들이 있다면 어떤 것들일까요?
7.
학교 교육이 바로 창업으로 연계되는 일은 쉽지 않죠.
현장 밀착형 창업교육은 어떻게 운영-지원될까요?
8.
k-스타트업을 비롯해 창업 붐과 문화 확산을 위한 노력은 어떻게 하고 계실까요?
9.
해외로 눈을 돌려보죠.
대학간 해외 창업관련 교육도 이뤄지나요?
대학간 해외교류는 어떻게 이뤄지는지 궁금합니다.
10.
수많은 대학이 각기 창업 지원을 수행한다면 이를 통합할 컨트롤타워 역할도 중요할 것 같습니다.
통합 운영 계획은 어떻게 되나요?
11.
학생 창업활동의 직접 멘토가 되는, 대학 교원들의 창업은 어떤가요?
교원들의 안정적 창업활동 보장이 곧 학생들의 창업으로 이어질텐데요?
12.
관련 법령 개정부터 대학발 창업을 위해 앞으로 과제가 많을 듯합니다.
향후 계획, 마무리 말씀으로 부탁드립니다.
MC>
어렵게 이룩한 청년 창업 붐이 계속 이어지길 바라고, 정부 지원이 힘겨운 청년에게 희망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지금까지 교육부 취업창업 교육지원과 최승복 과장이었습니다.
도움 말씀 진심으로 감사합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