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본문

KTV 국민방송

기재부 예산실, 사상 첫 '워라밸 휴가'

국민리포트 금요일 11시 40분

기재부 예산실, 사상 첫 '워라밸 휴가'

등록일 : 2018.07.06

정부부처 가운데 가장 바쁜 곳 가운데 하나가 기획재정부 예산실인데요.
여름휴가는 엄두도 내지 못했던 예산실 공무원들이, 올해 처음으로 집단 여름휴가를 간다고 합니다.
일과 삶의 균형을 찾아 '워라밸 휴가'를 떠나는 기재부 예산실을 장진아 국민기자가 찾아가봤습니다.

<장진아 국민기자>
이곳은 기획재정부 세종청사입니다. 어느 정부 부처, 어느 부서보다 업무량이 많은 것으로 소문난 예산실에 와 있는데요. 남경철 예산기준과장님 자리 함께하셨습니다. 안녕하세요?

<장진아 국민기자>
기재부 예산실은 다른 부서보다도 정말 바쁜 부서로 알고 있는데요.
어떤 일을 하는 곳이길래 이렇게 바쁜지 먼저 설명해주시죠.

<남경철 / 기획재정부 예산기준과장>
기획재정부 예산실은 약 430조 원 규모의 나라 살림을 편성하고 국회에도 제출하는 곳입니다. 직원은 한 200명 정도 있고요. 예산 편성이라는 것이 숫자를 넣고 빼고 하는 것이 아니라 하나하나 모든 부처의 정책과 연계되어 있기 때문에 이러한 부분을 같이 검토해서 나라 예산을 확정하는 곳입니다.

<장진아 국민기자>
이렇게 바쁘신데 정말 여름휴가를 떠나시는 게 맞나요?

<남경철 / 기획재정부 예산기준과장>
사실입니다. 이번 주에 전 직원이 여름휴가를 가게 되었습니다.

<장진아 국민기자>
가장 뜻밖이라고 놀라시는 분들이 바로 가족 분들일 것 같은데요. 휴가받았다고 하니까 뭐라고 하시던가요?

<남경철 / 기획재정부 예산기준과장>
저희는 지난 10년간 저희 가족들이 여름휴가를 가본 적이 없기 때문에 다들 놀랐습니다.

<장진아 국민기자>
이렇게 너무 바빠서 기피 부서라고도 알려진 예산실, 평소 출퇴근 시간과 분위기는 어떤지 말씀해주세요.

<남경철 / 기획재정부 예산기준과장>
출퇴근 시간은 신데렐라 타임이라고 9시에 출근해서 자정에 퇴근합니다. 그건 지금 일이고 제가 젊었을 때, 사무관 때는 9시에 출근해서 3시에 퇴근했습니다.
(기자: 3시요?) 네, 새벽 3시요. 아마 믿기지 않으실 텐데요. 6월, 7월, 8월 정부 예산을 편성하는 기간에는 짧은 기간 동안에 검토할 것이 너무 많아서 그렇게 일했었죠.

<장진아 국민기자>
그중에서도 가장 바쁜 시기 여름철, 내년도 예산을 짜는 시기라고 들었거든요. 이렇게 집단으로 휴가를 가시면 혹시 내년도 예산에 차질은 없으신 건가요?

<남경철 / 기획재정부 예산기준과장>
네, 물론 분명히 차질은 없을 것이고요. 일하는 방식만 바꾸어도 순조롭게 휴가도 갈 수 있고 일하기 좋은 환경을 만들 수 있을 거라고 생각합니다.

<장진아 국민기자>
먼저 이렇게 집단으로 휴가를 가시게 된 배경을 알고 싶습니다.

<남경철 / 기획재정부 예산기준과장>
우선 장·차관님이나 실장님 등 윗분들의 의지가 제일 중요한 것 같습니다. 이렇게 일하는 방식을 혁신하고 또 스마트하게 일하면서도 똑같은 성과를 낼 수 있다는 의지만 있으면 얼마든지 가능할 거라고 보고요. 최근에 재작년부터 예산실에서 일하는 방식이 조금 바뀌긴 했는데요. 그동안 저희가 주말에도 출근을 많이 했습니다. 토요일에도 예산심의가 있으면 다 출근해서 일했는데요. 재작년부터 주말 출근이 없어졌고 대신에 일요일 출근이 있습니다. 그 부분이 재작년에 큰 변화였고요. 올해 처음으로 시도한 여름철 이틀간 휴가. 이것도 아주 파격적인, 놀랄만한 일이죠.

<장진아 국민기자>
'일과 삶의 균형을 맞추는 워라밸을 기재부에서 맨 처음에 실행했다.' 이런 기사도 났어요. 이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남경철 / 기획재정부 예산기준과장>
아직 워라밸로 가기까지에는 부족한 점이 많은 것 같습니다. 특히 민간 부분에는 자영업자 분들이라든지 노동시간에 있어서 아주 과로하게 근무할 수밖에 없는 여건에 계신 어려운 분들도 많고요. 우리 사회가 주 52시간 근무를 통해서 조금씩 바뀌어 나가는 것이 아닌가 생각합니다.

<장진아 국민기자>
우리나라 근로자들이 너무 일에 치여 산다는 말이 정말 실감 나는데요. 일하는 환경이 좋은 환경이 되기 위해서 어떤 대책이 필요할지 아주 업무량이 많은 부서 입장에서 한 말씀 부탁드립니다.

<남경철 / 기획재정부 예산기준과장>
지금이 혁신성장의 시대지 않습니까? 일하는 방식도 IT 등을 활용해서 여러 가지를 혁신할 수 있는 방법이 있는 것 같고요. 옛날에 우리나라가 압축성장, 농업적 근면성을 가지고 밤낮으로 일하고 이런 시대는 아니라고 봅니다. 스마트하게 일하면서 사회 분위기를 바꿔나가야 한다고 봅니다.

<장진아 국민기자>
끝으로 우리 시청자 여러분께 마지막으로 하시고 싶은 말씀 한마디 부탁드립니다.

<남경철 / 기획재정부 예산기준과장>
저희 기재부 예산실은 우리 경제가 더 좋아지도록, 우리 국민들의 삶이 더 나아지도록 밤낮으로 고민하고 열심히 일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장진아 국민기자>
'일과 삶의 균형'을 맞추는 일은 이제 선택이 아니라 필수겠죠.
대한민국의 미래를 위해서 우리 모두가 힘을 모아야 할 때입니다.
지금까지 기획재정부 남경철 과장님 함께 하셨습니다.
감사합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