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본문

KTV 국민방송

아이가 행복한 나라···'아동수당'으로 첫걸음 [나는 대변인이다]

KTV 대한뉴스 월~금요일 19시 00분

아이가 행복한 나라···'아동수당'으로 첫걸음 [나는 대변인이다]

등록일 : 2018.07.27

신경은 앵커>
각 부처 대변인에게 정책 이야기 듣는 '나는 대변인이다' 코너입니다.
오늘은 보건 복지부 김헌주 대변인을 이혜진 기자가 만나봤습니다.

(출연: 김헌주 / 보건복지부 대변인)

◇ 이혜진 기자>
국민 모두의 행복한 삶을 위해 보이지 않는 곳에서 가장 발 빠르게 움직이는 부처입니다. 바로 보건복지부인데요, 오늘은 보건복지부 김헌주 대변인 모시고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 안녕하세요, 먼저 시청자 여러분께 짧게 인사 부탁드립니다.

◆ 김헌주 대변인>
안녕하세요. 보건복지부 대변인 김헌주입니다.
국민을 위해 일하는 보건복지부 정책을 오늘 국민 여러분께 말씀드리고 이야기드릴 기회를 갖게 돼서 많이 기쁘게 생각합니다. 앞으로도 보건복지부 정책에 많은 관심 가져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이혜진 기자>
대변인으로서 다양한 복지정책들을 국민에게 가장 정확한 목소리로 전달하고 계신데요, 이런 걸 한 번 여쭤보고 싶었어요, 대변인이라서 언제 가장 행복하십니까?

◆ 김헌주 대변인>
정책에 의해 국민이 조금 더 삶이 나아지고 행복해지시면 그게 복지부에서 가장 기쁜 순간이 되고요. 그 과정에서 대변인실이 좀 더 국민과의 소통을 위해 노력하고 그 결과가 결실로 나타났을 때 가장 행복합니다.

◇ 이혜진 기자>
네, 제가 알기로는 대변인 업무가 상당히 과중한 것으로 알고 있는데, 그럼에도 많은 보람을 느끼시는 것 같습니다. 반대로 업무를 하면서 아쉬울 때도 있으신지요.

◆ 김헌주 대변인>
정책을 만들 때 항상 국민 목소리를 듣고 국민에게 잘 설명해드리는 '소통'이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는데요. 그 정책이 충분한 소기의 성과를 거두지 못할 때 대변인 입장에서 부족한 게 무엇이었는지 반성하고 앞으로 정책을 만들 때 어떻게 국민께 설명을 드리고 국민의 목소리를 들어야 하는 지 고민하게 됩니다.

◇ 이혜진 기자>
그렇군요. 본격적으로 정책 이야기 나누기 전에 짧게 퀴즈 하나 내보겠습니다. '보건복지부는 네모다', 보건복지부를 한 마디로 정의한다면요?

◆ 김헌주 대변인>
두 마디로 정의드리겠습니다. 일단 보건복지부는 사람이다, 그렇게 말씀드리고 싶습니다. 다른 어느 부처보다도 보건복지부가 사람을 위해서 사람이 사람과 함께하는 그런 일을 하는 부처라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한 가지 더 덧붙이자면 보건복지부는 삶이다, 이렇게 말씀드리겠습니다. 흔히 보건복지부의 정책을 놓고 요람에서 무덤까지라고 표현하는데요, 실상 보건복지부의 정책은 요람 이전부터 무덤 이후까지라고 얘기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만큼 국민의 삶 구석구석 하나하나에 다 영향을 미치고 국민 삶의 행복을 위해서 노력하는게 보건복지부고요.

◇ 이혜진 기자>
Q. 아동수당이란?
보건복지부를 사람과 삶, 이렇게 두 가지로 규정해주셨습니다. 이제 본격적으로 정책 이야기 나눠볼 텐데요. 지난달 포털사이트 검색어 상위를 다퉜던 정책입니다. 바로 아동수당인데요, 아동수당이 뭔지 간단히 설명해주시죠.

◆ 김헌주 대변인>
아이를 키우는 데는 많은 비용이 들고 그 아이가 잘 자라는 것이 우리의 미래를 위해 중요합니다. 아동수당은 바로 그런 아이를 잘 키우기 위한 비용을 지원하는 제도입니다. 현재 설계된 아동수당은 만 0세에서 5세 아동, 대부분 아동에 대해 월 10만원을 지원해드리고 있습니다.

◇ 이혜진 기자>
지난 20일부터 사전신청이 시작됐는데, 열기가 대단했죠.

◆ 김헌주 대변인>
그렇습니다. 신청 첫날에만 32만 가구가 신청했다고 들었습니다.

◇ 이혜진 기자>
제 또래 중에도 아이 키우는 엄마들이 많은데요. 아이 키우는 입장에선 한 푼이 아쉬울 때가 많거든요, 그래서 그런지 아동수당에 대해 주변에서 관심이 많더라고요.

◆ 김헌주 대변인>
제 주변에서도 많은 분들이 관심을 갖고 있고요, 모든 가구는 아니지만 상당히 많은 가구에 지원이 되고 있기 때문에 스스로 대상이 되는지에 대해 관심이 많고, 이 수당이 지원됐을 때 아이에게 뭘 해줄 수 있을까에 대해 생각하시는 분도 많이 봤습니다.

◇ 이혜진 기자>
Q. 아동수당, 지금 신청해도 늦지 않나?
그렇다면 아동수당 신청은 지금 하면 늦지 않을까요? 어떻게 하면 될까요?

◆ 김헌주 대변인>
전혀 늦지 않습니다. 첫 아동수당 지급은 올 9월에 이뤄지고요. 지난달 20일부터 신청 받고 있는 분들도 9월에 다 같이 지급 받게 됩니다. 보통 9월 말까지만 신청하게 되면 9월분 수당을 지원받는 건 아무 문제가 없는데요, 그 사이에 출생하는 아이가 있다면 출생하고 신고하는 데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출생일로부터 두 달 동안 신청하시면 출생한 달부터 아동수당을 지급 받을 수 있게 됩니다.

◇ 이혜진 기자>
아동수당 아직 신청하지 않으신 분들, 참고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마지막으로 시청자분들께 하고 싶은 말씀 있으시면 해주시죠.

◆ 김헌주 대변인>
부디 아동수당이 더 좋은 목적에 잘 쓰일 수 있도록 지켜봐 주시고 저희도 제도를 더 발전시키도록 노력하겠습니다. 아동수당뿐 아니라 보건복지부가 하고 있는 여러 정책에 대해 국민 여러분이 좀 더 관심 갖고 지켜봐 주시고 성원해주시길 바랍니다.

◇ 이혜진 기자>
지금까지 보건복지부 김헌주 대변인과 함께 여러 이야기 나눠봤습니다. 감사합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KTV 대한뉴스 (30회) 클립영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