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국가기념식 모아보기
본문

KTV 국민방송

세계문화유산 한지···인형에 담다

국민리포트 금요일 11시 40분

세계문화유산 한지···인형에 담다

등록일 : 2019.01.14

이유리 앵커>
수원화성을 짓는 모습이나 대장경판을 옮겨 모시는 행렬.
모두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된 우리 전통문화의 조성 과정인데요.
이 모습들이 한지인형으로 새롭게 태어나고 있습니다.
우리 문화를 알리는 한지인형의 세계를 문인수 국민기자가 전해드립니다.

문인수 국민기자>
익살스럽고 해학적인 한지 인형들이 진열대에 가득합니다.
제작대에서는 인형 골격을 세우고 살을 붙이고 혼을 불어넣는 손길이 분주합니다.

인터뷰> 김경숙 / 한지공방 운영
표정이 아주 귀엽고 예쁘지요. 아기라고 생각하면서 만든 건데 정말 좋아요. 이게 마음을 많이 순화시켜 주는 것 같아요.

전진숙 작가가 우리의 전통문화를 한지 인형으로 만들기 시작한 것은 18년 전입니다.
전통 한지 문화를 이어가겠다는 마음으로 인형 작업을 시작합니다.

인터뷰> 전진숙 / 한지공예연구소장
"종이 장이나 종이 옷, 종이 신발 등 여러 가지 생활용품을 종이라는 소재로 만들어 썼거든요. 쉽게 접할 수 있고 구할 수 있는 소재기 때문에 다른 나라에서 볼 수 없는 우리나라에서만 볼 수 있는 소재라고 할 수 있습니다."

채상놀이에 취한 농악꾼들의 흥겨운 모습, 경건하면서도 다복한 전통혼례 의식, 함께 김장하며 수다를 떠는 아낙들의 모습, 뻥튀기 옆에서 튕긴 밥풀 튀기를 기다리는 아이들.
작품마다 우리 민족의 해학과 낙천적인 멋 그리고 혼이 담겨있습니다.
신명 나는 농악놀이가 한지 인형으로 새롭게 태어났습니다.
한지의 독특한 질감과 농악놀이의 흥겹고 익살스러운 표정이 어울려 그 멋이 한층 돋보입니다.
가르친 제자만도 4백여 명.
작품 활동과 기술 전수를 통해 한지 예술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전진숙 작가는 제자들과 함께 수원화성 축조 과정이나 대장경판 이운 행렬, 금속활자로 찍어낸 직지심체요절의 제작 과정 등 10여 미터에 이르는 대작에 심혈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한지에 대한 애정이 남다른 전 씨는 지난 연말 한류문화산업포럼이 주최한 대한민국 한류대상 시상식에서 전통부문 대상을 받기도 했습니다.
그의 작품은 터키 한국문화원을 비롯해 유엔, 일본, 중국, 독일 등의 문화원에 전시돼 호평받고 있습니다.

인터뷰> 전진숙 / 한지공예연구소장
"한지를 소재로 한 작품을 전시했을 때 겉으로 봤을 때는 인형에 불구합니다. 하지만 소재를 설명하면 외국인들이 놀라워하면서 구매하고 이해하고 알고 싶어 하는 것을 많이 봅니다."

(촬영: 김창수 국민기자)

전통 한지로 만든 그의 작품은 인형은 물론, 전통 건축물과 평창 올림픽 초대장 카드까지 다양하게 만들어지면서 한지의 우수성과 우리 문화를 알리는 데 한몫을 하고 있습니다.

국민리포트 문인수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