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본문

KTV 국민방송

비핵화 중기대로 선 남북미···돌파구와 한반도 정세는?

생방송 대한민국 1부 월~금요일 10시 00분

비핵화 중기대로 선 남북미···돌파구와 한반도 정세는?

등록일 : 2019.03.20

임보라 앵커>
하노이 회담에서 비핵화 담판이 결렬된 뒤 북미가 '강 대 강' 대치를 이어가는 가운데, 우리 정부는 양측의 교착을 풀고 비핵화 대화를 촉진할 돌파구를 모색하고 있습니다.
서울 스튜디오로 연결해서 대담 나눠보겠습니다.
명민준 앵커 나와주세요.

명민준 앵커>
네, 서울 스튜디오입니다.
정한범 국방대학교 안보정책학과 교수와 2차 북미정상회담 이후 현안과 한반도 정세를 살펴보겠습니다.

(출연: 정한범 / 국방대학교 안보정책학과 교수)

명민준 앵커>
남·북·미 세 정상이 북미 비핵화 협상과 관련해 동시에 침묵을 유지하며 장고에 들어간 모습입니다.
문 대통령은 지난 4일 있었던 국가안전보장회의 전체회의 이후 2주 동안 관련 공개 언급을 하지 않고 있는데요, 어떤 상황으로 보십니까?

명민준 앵커>
북한 문제와 관련해 트위터와 기자 문답 등으로 때론 지나치다 싶을 만큼 빈번히 발언을 내놓았던 트럼프 미국 대통령도 며칠째 북한 관련 발언을 하지 않고 있는데요, 어떤 의미로 보시나요?

명민준 앵커>
한편 마이크 폼페이오 미국 국무장관은 현지시간으로 18일, '제재'와 '대화'라는 강온 메시지를 동시에 내놨는데요, 어떤 의미로 봐야 할까요?

명민준 앵커>
김정은 위원장은 지난 5일 하노이에서 평양으로 귀환하고 닷새 후 최고인민회의 대의원 선거에 모습을 나타낸 것이 유일한 공개 행보입니다. 김 위원장 동향과 의미를 짚어주신다면요?

명민준 앵커>
청와대와 정부가 북·미 비핵화 협상의 교착 국면을 타개하기 위해 ‘3단계 비핵화’라는 카드를 꺼내들었습니다. 현 시점에서 남북미 비핵화 구상에 어떤 차이가 있다고 봐야 할까요?

명민준 앵커>
청와대는 9.19 평양 공동선언의 합의 내용을 적극적으로 실현하는 등 남북관계 개선을 통해 대화의 모멘텀을 유지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이미 지난 14일 한미 워킹그룹을 통해 이산가족 화상상봉과 관련된 협의를 마무리했죠?

명민준 앵커>
국방부도 남북 군사회담을 추진하겠다고 밝혔습니다. 군사회담에서 논의될 주요 의제 어떻게 예상하십니까?

명민준 앵커>
교착을 돌파하기 위한 4번째 남북정상회담이 열릴 가능성도 배제할 수는 없지 않겠습니까?

명민준 앵커>
한편 남북 정상 간 접촉은 한·미 정상의 만남과 선후 관계가 명확하지 않은 상태입니다. 이르면 다음 달 문 대통령의 미 워싱턴 방문이 예상된다는 관측도 나오고 있는 상황인데요, 어떻게 보십니까?

명민준 앵커>
이도훈 외교부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은 18일 러시아 방문길에 올랐습니다. 2차 북미 정상회담 결렬 후 중·러·일 등 북핵 관련국의 대북 행보가 빨라지고 있는데요, 이에 대한 우리 정부의 대응은 어떻게 예상해볼 수 있을까요?

명민준 앵커>
중국 왕이 외교부장은 북미정상회담 결렬 이후 '각 측이 동의하는 감독체제'를 언급했고, 루캉 대변인은 '하나의 틀'이 필요하다고 말했습니다.
6자 회담과 유사한, 중국이 참여하는 틀을 만들고 싶은 의도일까요?

명민준 앵커>
한편 지난 17일 북러는 경제·인도주의 분야에서 협력하기로 합의했다고 조선중앙통신이 보도했습니다.
북한이 러시아와 관계 개선에 나선 모습인데요, 의미와 추후 행보는 어떻게 예상하십니까?

명민준 앵커>
하노이 담판이 성과 없이 끝난 뒤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내달 남북한 동시 답방설이 조심스레 제기되고 있습니다. 성사된다면 어떤 내용의 논의가 이뤄질까요?

명민준 앵커>
북미 협상 재개를 위해 우리 정부의 역할이 어느때보다 중요해 보입니다. 정부 과제, 마무리 말씀으로 부탁드립니다.

명민준 앵커>
지금까지 정한범 국방대학교 안보정책학과 교수와 이야기 나눴습니다.
고맙습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