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국가기념식 모아보기
본문

KTV 국민방송

"일회용품 제로"···대학가 환경 지키기 확산

국민리포트 금요일 11시 40분

"일회용품 제로"···대학가 환경 지키기 확산

등록일 : 2019.03.26

이유리 앵커>
일회용품 근절은 우리 사회 모두가 안고 있는 과제인데요.
대학가에서는 일회용품 사용을 줄이기 위해 다양한 활동이 펼치고 있습니다.
학생들의 자발적인 참여로 일회용품을 줄여나가고 있는 현장을 김슬기 국민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김슬기 국민기자>
한 대학의 카페.
플라스틱 대신 유리 머그컵은 기본 텀블러를 가지고 찾는 학생들이 늘고 있습니다.
텀블러 사용은 환경 보호에 할인은 덤입니다.

인터뷰> 박노은 / 카페 손님
"텀블러를 많이 챙겨서 다니려고 노력하는 것 같아요. (카페에서) 할인도 많이 해주는 편이여서.."

한 대학의 국문학과.
일회용품 사용을 줄이기 위해 매년 신입생에게 텀블러나 실리콘 빨대를 입학 선물로 제공하고 있습니다.
MT 같은 학과 행사에서 일회용품 사용을 근절하기 위해서입니다.
신입생을 대상으로 한 이 학과의 에코 캠페인은 6년 전부터 진행되고 있습니다.

인터뷰> 강지윤 / 덕성여대 국어국문학과 회장
"텀블러나 수저 세트·실리콘 빨대 등 다양한 다회용기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학과에서 쓰레기 배출량이 현격히 줄어들어 이 캠페인이 분명한 효과를 보인다고 생각합니다."

이처럼 일부 대학이 주도해온 일회용품 줄이기 운동은 정부의 직접적인 규제로 인해 많은 대학의 참여를 이끌었습니다.
서울의 또 다른 대학교에서는 재학생과 대기업이 직접 협력해 제로 텀블러 캠페인을 실시하기도 했습니다.
제로 텀블러란 재학생 모두가 사용할 수 있는 환경 텀블러인데요.
학교에서 일정 수량의 텀블러를 공급한 뒤 이를 반납·수거·세척을 통해 재활용하도록 하는 겁니다.

인터뷰> 김보경 / 이화여대 커뮤니케이션·미디어학부 2학년
"텀블러를 직접 제 손으로 직접 수거하고 세척하고 또 공급하면서 하루에 얼마나 많은 양의 플라스틱 컵들이 절감이 되는지 직접 체험할 수 있었고요. 결과적으로 추산해보니까 전체적으로 7천 6백여 잔의 플라스틱 컵을 줄였다는 것을 알았습니다."

플라스틱 빨대 없애기 캠페인 등 일회용품 줄이기 활동은 사회 운동의 하나로 수업으로 채택한 학교도 있습니다.

인터뷰> 이효진 / 숙명여대 법학부 4학년
"학교에서 하는 사회운동이라는 수업에서 만나서 저희가 이 캠페인을 자발적으로 진행을 하게 됐는데요. 일회용·플라스틱 빨대가 저희의 건강이나 환경에 어떠한 악영향을 끼치는지를 알려드리고 싶어서 이 캠페인을 진행하게 됐습니다."

인터뷰> 이가영 / 숙명여대 법학부 3학년
"빨대(줄이기) 운동이 많은 사람이 참여하면 참여할수록 더 좋은 운동이라고 생각해요."

최근에는 10여 개 대학 총장들도 일회용 플라스틱 컵 대신 텀블러를 이용하자는 취지로 시작된 '플라스틱 프리 챌린지' 캠페인에 동참하는 등 대학가 일회용품 제로 운동이 확산되고 있습니다.
(취재: 권지윤 목하경 박서현 임세희 장수현 / 촬영: 박민희 이시연 이우영)
일회용품 줄이기는 이제 선택이 아닌 필수입니다.
더욱 더 많은 캠퍼스의 동참, 그리고 지속적인 노력이 필요한 시점입니다.

국민리포트 김슬기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