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본문

KTV 국민방송

'브렉시트' 대비 한·영 FTA 원칙적 타결 선언

KTV 대한뉴스 월~금요일 19시 00분

'브렉시트' 대비 한·영 FTA 원칙적 타결 선언

등록일 : 2019.06.11

신경은 앵커>
'브렉시트'에 대비한 우리나라와 영국의 '자유무역협정'이 원칙적으로 타결됐습니다.
영국이 EU를 탈퇴해도, 무관세 수출을 계속 이어갈 수 있을 전망입니다.
이리나 기자입니다.

이리나 기자>
한·영 FTA 원칙적 타결 선언식
(장소: 서울 소공동)

유명희 통상교섭본부장과 리암 폭스 영국 국제통상부 장관이 한-영 FTA 협상의 원칙적 타결을 공식 선언했습니다.
영국이 아무런 합의 없이 유럽연합을 탈퇴하는 노딜 브렉시트'에 대비한 조치로, 기존의 양국 통상관계의 안정성과 연속성을 이어갈 수 있게 됐습니다.
우선 기존에 한국과 EU FTA가 정한 공산품 관세 철폐 원칙을 그대로 유지 하기로 했습니다.
이로써 '노딜 브렉시트'가 되면 4.5%에서 10%의 관세를 내야 하는 자동차와 자동차 부품이 지금처럼 영국에 무관세로 수출할 수 있습니다.
또 국내 농업 분야 보호를 위한 긴급수입제한조치를 한-EU FTA보다 더 쉽게 발동할 수 있게 했습니다.
이와 함께 우리 수출품이 EU 물류기지를 경유해 수출해도 3년간 영국으로의 직접 운송으로 인정하기로 했습니다.
또 브렉시트 후에도 영국에서 생산하는 아일랜드 위스키를 영국산으로 인정하고 영국산 맥아와 보조 사료에 저율 관세할당을 부여합니다.
유명희 통상교섭본부장은 "이번 협상의 타결은 미중 무역분쟁 심화와 중국 경기 둔화 등 수출여건이 악화되는 상황에서 브렉시트로 인한 불확실성을 최대한 빨리 차단한데 의의가 있다"고 밝혔습니다.
(영상편집: 양세형)
정부는 브렉시트가 오는 10월31일 예정된 만큼, 그 전에 한영 FTA가 발효돼 수출에 문제가 생기지 않도록 국회 비준절차를 서두른다는 계획입니다.

KTV 이리나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