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본문

KTV 국민방송

'예향의 도시' 청소년들 수묵화 배움 열기

국민리포트 금요일 11시 40분

'예향의 도시' 청소년들 수묵화 배움 열기

등록일 : 2019.08.28

한효재 앵커>
목포 하면 흔히 '예향의 도시'로 불리는데요.
웬만한 가정집이나 가게를 가보면 수묵화 한 점씩은 다 걸려있다 보니 나온 얘기입니다.
이런 분위기를 반영하듯 청소년들을 위한 수묵 놀이교실이 운영돼 눈길을 끌었습니다.
김남순 국민기자가 다녀왔습니다.

김남순 국민기자>
(장소: 옛 갓바위미술관 / 전남 목포시)
책상 위에 놓인 하얀 화선지, 청소년들이 붓을 놀리며 열심히 수묵화를 그리는데요.
묵향이 가득한 이곳은 목포의 한 미술관에서 열린 수묵 놀이교실, 내년에 열리는 국제수묵비엔날레에 대한 관심을 높이기 위해 마련된 것입니다.

인터뷰> 신은지 / 2020 전남국제수묵비엔날레 사무국
"우리나라 전통 수묵화를 수묵놀이 교실을 통해서 친근하게 배울 수 있고 내년에 개최되는 2020 전남국제수묵비엔날레를 자연스럽게 알게 되어서 관심을 가져주시길 기대합니다."

현장음>
"수묵이라고 하면 먹물을 가지고 그림 그리는 거예요."

초등학생과 중학생 20여 명이 참여한 수묵 놀이교실, 사군자의 하나인 대나무를 그려보는데요.
강사로 나선 수묵화가들이 하나하나 자상하게 지도합니다.

현장음>
"붓을 똑바로 든다. 여기 봅니다. 아래서 위로 긋습니다."

한번 지나간 붓자국에 덫칠을 하지 않고 그대로 쭉 그려나가는게 수묵화의 특징,

현장음>
"잡고 멈추고, 가고 나가고, 이렇게.."

몇차례 붓을 놀리자 대나무의 몸통이 됩니다.

현장음>
"너 잘했네."

인터뷰> 김길동 / 수묵화가
"그리려고 하는 것보다는 수묵하고 친해졌다. (수묵하고) 같이 놀았어요."

이번에는 대나무 잎을 그리는 차례,

현장음>
"천천히 하나, 둘, 셋, 넷, 다섯."

그럴듯한 대나무의 모습이 나옵니다.

인터뷰> 최건 / 초등학생
"붓으로 그림을 그려 보니까 옛날 선비같은 느낌이 들었어요."

한켠에서는 역시 사군자의 하나인 우아한 난을 그려봅니다.

현장음>
"난을 보면 이렇게 올라오잖아."

금세라도 은은한 난 향기를 내뿜을 듯, 자상한 지도를 받은 학생들은 그림이 한결 나아졌다며 좋아합니다.

인터뷰> 이지원 / 초등학생
"처음에는 종이에 한 번 그으면 쫙 퍼져서 힘들었는데 작가님들이 가르쳐 주니까 잘 됐던 것 같아요."

이번에는 부채에 한폭의 수묵화를 그려보는 시간, 화선지에 그리는 것보다 훨씬 어렵기 때문에 마음대로 되질 않습니다.

인터뷰> 최미희 / 중학생
"부채가 울퉁불퉁해서 먹이 잘 묻어 중간에 끊기기도 하고 했는데 많이 하다보면 언젠가 나아지지 않을까 생각해봅니다."

인터뷰> 이준철 / 수묵화가
"처음 붓을 잡아 보고 그림을 그렸는데 너무 잘 그린 거예요. 놀라울 정도로, 초보가 아닐정도로 잘 그리고..."

수묵놀이 교실은 앞으로 전남지역 초등학교 '방과후 교실'에서 이어진다고 하는데요.
이번에 그린 우수 작품은 내년에 목포에서 열리는 국제수묵비엔날레에 전시될 예정입니다.
수묵화의 멋과 매력에 푹 빠진 청소년들.
이번 수묵놀이 교실은 우리 전통 문화의 소중함을 일 깨워준 뜻깊은 시간이 됐습니다.

국민리포트 김남순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