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국가기념식 모아보기
본문

KTV 국민방송

강사법 여파···담당 교수 모르는 깜깜이 수강신청

국민리포트 금요일 11시 40분

강사법 여파···담당 교수 모르는 깜깜이 수강신청

등록일 : 2019.09.17

한효재 앵커>
한 학기를 좌지우지하는 게 수강신청인데요,
하지만 수강신청을 하는 학생들이 교수의 이름도 몰라서 선택에 혼란을 겪었습니다
강사법 시행의 여파인데요
학생들의 이야기를 김경민 국민기자가 들어봤습니다

김경민 국민기자>
서울의 한 대학 수강 사이트입니다.
학생들이 수강신청 화면에서 하루 종일 눈을 떼지 못하지만 수강 과목 선택이 쉽지 않습니다.
확정되지 않은 강의가 많기 때문입니다.
한 학과의 경우 수강신청이 시작됐지만 24개의 강의 중에 10개가 미정으로 적혀있습니다.

인터뷰> 윤예원 / 대학생
“이번에 수강신청 날까지도 강사법 때문에 교수님이 제대로 정해지지 않아서 강의 계획서도 못 보고 그냥 신청했어요.”

문제는 강의 확정이 늦어진 것만이 아닙니다.
일부 학과는 지난해에 비해 개설 강의수나 강사 배정이 줄어들면서 학생들의 선택 폭이 좁아진 겁니다.
한 대학 인문과학 단과대의 경우 강사 수가 지난해 보다 17명, 강의 수는 26개나 줄었습니다.

인터뷰> 여지윤/ 대학생
“전공 강의도 많이 줄고 인터넷 강의가 생각보다 많이 늘어서 수강신청하는데 어려움이 있었어요.”

인터뷰> 최혜림/ 대학생
“학생 수가 백 명이 넘는 강의가 너무 많이 생겨서 수업 듣기가 힘들어졌어요.”

학생들이 담당 강사와 강의 계획서조차 보지 못한 채 수강신청을 해야만 했던 이유는 강사법 시행에 있습니다.
강사법에 따라 강사들의 처우를 높여야 하는 대학 측이 비용 부담 때문에 강사 수나 강의 수를 줄였기 때문입니다.
이런 수강 신청 혼란은 비단 이 학교 만이 아닙니다.
전국 대부분의 대학들도 사정이 마찬가지입니다
문제는 이 여파가 학생들의 학습권 침해로 이어질 수 있다는 겁니다.
대학의 구조조정에다 강사법 여파로 대학의 강사나 강의 수 자체가 줄어드는 추세입니다.
학교마다 차이는 있지만 교양과목은 지난해보다 20%에서 많게는 절반 가까이까지 감소했습니다.
강사법 시행을 앞두고 지난 1학기 7천 8백 여명의 강사가 학교를 떠나야만 했습니다.
하지만 신규 강사 채용도 늦어지면서 강사 부족에 따른 교단의 차질은 당분간 이어질 전망입니다.

인터뷰> 강태경 / 전국대학원생 노동조합지부 수석부지부장
“교수들의 연구역량에 투입되어야 하는 시간이 강의로 이전되거나 자신의 연구 실적을 보존하기 위해서 수업은 맡지만 대충 하겠죠.”

(영상촬영: 김태욱 국민기자)

좋은 취지에서 만들어진 강사법이 현장에서 안착되고 양질의 학습권을 보장받을 수 있도록 교육당국과 대학이 보다 적극적으로 노력해 줄 것을 학생들은 바라고 있습니다.

국민리포트, 김경민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