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국가기념식 모아보기
본문

KTV 국민방송

20대부터 80대까지···'뜨개질 배우기' 열풍

국민리포트 금요일 11시 40분

20대부터 80대까지···'뜨개질 배우기' 열풍

등록일 : 2020.02.18

김제영 앵커>
'뜨개질' 하면 보통 주부들만 하는 걸로 아실 텐데요.
요즘은 젊은이나 어르신 할 것 없이 유행처럼 번지고 있습니다.
잡념을 없애주고 스트레스도 풀 수 있어서 뜨개질을 배우려는 열기가 뜨겁다고 합니다.
그 현장을, 조금숙 국민기자가 다녀왔습니다.

조금숙 국민기자>
('ㅌ' 뜨개방 / 경남 창원시)
창원의 한 전통시장에 있는 뜨개방, 털실이 가득 진열돼 있는 이곳에서 오손도손 사람들이 둘러앉아 뜨개질을 합니다.
뜨개질을 지도하는 분은 이곳에서 20년째 가르쳐온 70대 선생님, 뜨개실을 산 손님들에게 즉석에서 무료로 가르쳐줍니다.

현장음>
"하나 둘 두 개씩, 두 코씩 여섯 코 만들면 됩니다. (네!)"

다양한 연령층의 사람들이 각자 원하는 소품을 만들어보는데요.
자상하게 지도해주는 선생님 덕분에 '뜨개질 초보'라도 걱정이 없습니다.

현장음>
"좀 바짝 당길까요? 바짝 당기고, 사슬만 바짝 당겨주고 이건 당기면 안 됩니다."

뜨개질로 만드는 생활용품은 실용적인 가방과 모자부터 인형과 방석, 그리고 예쁜 옷까지 다양합니다.
뜨개질 선생님도 완성품을 만든 뒤에는 뿌듯한 보람을 느낍니다.

인터뷰> 허영숙 / 'ㅌ' 뜨개방 강사
"하나의 작품이 완성돼 손님이 기뻐하면 저도 기쁘고 즐겁고 좋아요. (뜨개질을 배우면) 시간도 잘 가고 잡념도 없어집니다."

43년의 오랜 전통을 자랑하는 이곳 뜨개방, 입소문을 타고 뜨개질을 배우러 찾아오는 사람들이 부쩍 늘었습니다.

인터뷰> 배종은 / 'ㅌ' 뜨개방 대표
"저희 가게 오시는 분은 20대부터 제일 많은 분이 60대, 70대, 80대까지 현재 오고 있습니다."

('ㅁ' 뜨개 공방 / 부산시 부산진구)
부산에 있는 한 뜨개 공방, 이곳에서는 주인이 직접 뜨개질을 가르쳐 줍니다.

현장음>
"고정만 해주고 얽히지 않을 정도로만 다 쓰고 다시..."

원데이 클래스와 4회 정규 과정으로 나눠 수강료를 받고 뜨개질을 가르치는데요.
실용적인 가방부터 방석까지 다양한 생활용품을 만듭니다.
뜨개질을 배우는 사람은 주로 2, 30대 젊은이들, 임산부는 물론 남자 수강생들도 있습니다.

인터뷰> 안지호 / 부산시 사상구
"제가 사회생활 하면서 생긴 화나 스트레스가 많았는데 (뜨개질) 하면서 마음의 평안도 얻고 스트레스가 많이 풀려서 하게 되었습니다."

인터뷰> 이성민 / 부산시 부산진구
"친구랑 왔는데 방석이 짜기 쉽고 시간도 짧아서 재미있고..."

(촬영: 임수빈 국민기자)

뜨개질하는 모습을 SNS에 올린 뒤 반응이 좋아 아예 가게를 차렸다는 뜨개 공방 주인, 시간도 많이 걸리지 않는 데다 마음의 고민을 내려놓는데 뜨개질이 더없이 좋다고 말합니다.

인터뷰> 김유리 / 'ㅁ' 뜨개방 대표
"현대인들은 고민이 많잖아요. 그 고민을 조금 내려놓을 수 있는 시간이 뜨개질할 때가 가장 많이 내려놓을 수 있는 거 같더라고요."

실과 바늘과 있으면 어디서든 할 수 있고 누구나 배울 수 있는 뜨개질, 소소한 행복을 맛볼 수 있는 취미 생활로 인기를 끌면서 다시 뜨고 있습니다.

국민리포트 조금숙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