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본문

KTV 국민방송

끝나지 않은 역사···제암리 두렁바위 '학살'

국민리포트 금요일 11시 40분

끝나지 않은 역사···제암리 두렁바위 '학살'

등록일 : 2020.03.03

김제영 앵커>
삼일운동에 대해 이야기를 할 때 빼놓을 수 없는 것이 바로 제암리 두렁바위 사건입니다.
3.1 만세 운동 당시 가장 잔인했던 화성시 제암리 학살 현장에는 지금도 아픔의 흔적이 그대로 남아있습니다.
유한권 국민기자가 현장을 찾아가봤습니다

유한권 국민기자>
3·1 만세의 함성이 전국으로 번져나가던 1919년 4월.
(두렁바위길 / 경기도 화성시)

제암리에서도 주민들이 태극기를 흔들며 대한 독립을 외칩니다.
만세를 부르던 제암리 주민들이 일본군에 학살당한 두렁바위길의 아픔은 지금도 생생하게 전해져 내려옵니다.

인터뷰> 김정혜 / 경기도 화성시
“(당시) 교회에서 많은 분이 희생되어서 이 동네가 사적지가 되었습니다. (3·1절에) 전국에서 많은 순례객이 다녀가고 있습니다.”

일제가 저지른 학살 만행의 흔적은 백 년이 지난 지금도 동네 곳곳에 남아있습니다.
주민들을 제암교회에 가둔 채 불을 지르고 뛰어나가는 사람은 총을 쏴 사살하는 일본군의 학살 모습에 관람객들은 마음이 숙연해집니다.
불꽃이 되는 순간까지 외쳤던 독립 정신과 함성은 이제 글귀로 그 울림을 전합니다.

인터뷰> 석일원 / 서울시 동작구
“3·1절이 되면 국가를 생각하는 마음도 있고 일본 사람들이 와서 예배당에 불을 지른 것을 생각하면 우리가 애국심을 다시 한번 불러일으키고 국가를 더 뜨겁게 사랑하고…”

1959년 4월 학살의 현장에 세워졌던 순국기념탑은 1982년 정부가 제암리 학살의 현장을 정밀 조사하면서 기념관 앞으로 옮겨졌는데요.
제암리와 고주리 학살사건으로 순국하신 선열 29분의 이름이 독립 정신과 희생정신을 전합니다.

인터뷰>전우학 / 경기도 화성시
“3·1절이 되면 동네 주민으로서 돌아가신 조상님들 생각에 너무 마음이 아픕니다.”

제암리 학살 사건으로 희생된 선열들의 묘소입니다.
운동순국기념관 옆에 조성된 묘소 주변에는 일제 폭거에 항거하는 소리 없는 외침이 들리는 듯 느껴집니다.
캐나다 선교사 스코필드 박사가 없었다면 제암리 학살사건의 참상이 세상에 알려졌을까요?

(영상촬영: 이상초 국민기자)

제암리 두렁바위길에 울려 퍼졌던 그날의 만세 함성과 아픈 역사의 현장이 우리에게 독립 정신을 전해주고 있습니다.

국민리포트 유한권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