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본문

KTV 국민방송

"장애인도 편하게 여행해요"···일부 아쉬움도

국민리포트 금요일 11시 40분

"장애인도 편하게 여행해요"···일부 아쉬움도

등록일 : 2020.04.28

김제영 앵커>
장애인들이 마음 놓고 다니기에는 우리 사회 구석구석 불편한 곳이 여전히 많은데요.
2년 동안 장애의 불편함이 적은 여행지를 선정하고 안내서를 직접 만든 장애인들이 있습니다.
과연 장애인들이 편안한 여행을 마음껏 즐길 수 있을지 윤지혜 국민기자가 직접 현장을 돌아봤습니다.

윤지혜 국민기자>
장애인들을 위해 만든 무장애 여행안내서입니다.
대전 여성장애인연대 무장애여행팀이 대전에서 처음으로 만들었습니다.
지난 2년 동안 대전의 주요 여행지를 직접 찾아가 대중교통 접근성과 편의시설을 확인해 기록한 겁니다.
관광 약자인 장애인들이 편하게 여행할 수 있는 14곳을 선정했습니다.
무장애 여행팀이 현장에서 문제점을 발견하면 시에 건의해 개선하기도 했는데요.
대전시립박물관이 대표적인 사례로 장애인 화장실이 수리되고 강당 입구에 휠체어 리프트가 설치됐습니다.

전화인터뷰> 전혜련 / 대전 여성장애인연대 무장애여행팀장
"몇몇 여행지 경우에는 개선 요청을 바로 받아서 우리가 조사를 하는 과정에 개선된 경우. 이런 경우들이 아주 큰 보람이 있었죠."

무장애 여행지가 실제로 어떤지 취재진이 직접 돌아봤습니다.
이곳은 대전의 한 대학에 있는 복합문화시설, '코로나19'로 운영이 중단됐지만 평소 다양한 문화예술 행사가 열려 많은 시민들이 찾는데요.
'무장애 대전여행' 안내서에서 소개했듯이 휠체어가 들어갈 수 있는 완만한 경사로가 있고 장애인 주차장이 마련돼 있습니다.
시각장애인을 위한 점자 안내판도 있어 버튼을 누르면 건물 안내 음성도 들을 수 있습니다.

현장음>
"지하 1층에는 지휘자실, 사무실, 분장실..."

하지만 아직 개선해야 할 점도 보입니다.
장애인 주차장 한 곳은 장애인 주차 표시가 지워져 있어 어떤 곳인지 알아보기 힘듭니다.
또, 인도 턱이 높아 휠체어를 탄 장애인들의 불편이 우려됩니다.

동춘당 (보물 제209호)
(장소: 대전시 대덕구)

이곳은 보물로 지정돼 있는 조선시대 문신 송준길의 고택, 무장애 여행팀이 지정한 여행지인데요.
이번에 안내서를 낸 여성장애인단체 관계자와 함께 둘러봤습니다.
문턱이나 도랑에 경사로와 다리가 설치돼 있어 휠체어를 탄 채로 산책을 즐길 수 있습니다.

인터뷰> 유금순 / 대전 여성장애인연대 무장애여행팀
"보시다시피 휠체어를 사용하는 장애인이 경사가 완만한 편이어서 봄에 꽃 보러 나들이도 할 수 있고..."

하지만 장애인들에게 불편한 점도 보입니다.
고택에 들어가기 쉽게 휠체어 이동을 돕는 경사로, 나무를 이어서 만든 것으로 관리소에 요청했을 때만 일시적으로 설치하는데요.
이를 잘 모르는 장애인은 이용할 수가 없습니다.

현장음>
"3명이 들어야겠다. 손 조심하세요."

(촬영: 임수빈 국민기자)

나무 경사로 자체가 성인 3명이 겨우 들어 올릴 정도로 너무 무거워 설치하기가 쉽지 않습니다.

인터뷰> 유금순 / 대전 여성장애인연대 무장애여행팀
"손이 불편한 장애를 갖고 있는 관광객이나 뇌 병변 장애인분들은 불편함이 있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전화인터뷰> 전혜련 / 대전 여성장애인연대 무장애여행팀장
"전국적으로도 무장애 관광지가 굉장히 많이 필요한 상황입니다. 이런 배려들이 많이 앞으로도 정부차원으로도 지방자치단체 차원으로도 많이 생겼으면 좋겠습니다."

이 같은 현실 때문에 장애인, 비장애인 모두 편하게 이동할 수 있는 이른바 '유니버설 디자인' 이 중요하다는 지적입니다.

전화인터뷰> 두오균 / 대전장애인인권센터 소장
"장애인만 생각하는 개념들이 아니라 우리 모두가 사용할 수 있는 유니버설 디자인 관점에서 봐야 하는 부분들이 이 시점에서 바라볼 수 있는 한 가지 방법이지 않을까..."

(촬영: 임수빈 국민기자)

장애와 비장애를 넘어 모두가 공존하는 세상을 만드는 것이 중요한데요.
장애인들의 불편함이 없는 여행을 위해 우리 모두의 관심과 함께 당국의 꾸준한 개선 노력이 필요해 보입니다.

국민리포트 윤지혜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