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새정부 출범 정책이슈 바로가기 이매진 유튜브 채널 바로가기
본문

KTV 국민방송

유튜브 전성시대···책을 읽지 않는 우리 사회

국민리포트 금요일 11시 40분

유튜브 전성시대···책을 읽지 않는 우리 사회

등록일 : 2020.05.19

김제영 앵커>
요즘 우리나라 성인 2명 중 1명은 종이책을 1년에 1권도 안 읽는다는 조사 결과도 있는데요.
종이책 독서량은 줄어든 반면, 모바일 콘텐츠와 영상매체 이용은 크게 늘어났습니다.
책을 읽지 않는 우리 사회, 마숙종 국민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마숙종 국민기자>
(구파발역 서울시 은평구)

지하철은 기다리는 승객들.
눈은 휴대폰에 가 있습니다.
열차를 타서도 마찬가지입니다.
어디를 둘러봐도 책 읽는 사람은 없고 대다수가 휴대폰을 들여다보고 있습니다.
스마트폰 시대가 바꾼 풍경입니다.
지하철 안에서 책 읽는 승객이 모두 사라졌습니다.
지하철 안에서 책 읽는 승객을 볼 수 없는 이런 현상은 스마트폰 시대가 몰고 온 우리의 현실입니다.

인터뷰> 조성선 / 구파발역장
“요즘 승객분들이 휴대폰만 들여다보고 계시는데요. 휴대폰 대신 책을 많이 읽어 주시면 지하철 분위기가 더 좋을 것 같습니다.”

문체부가 2년마다 독서 실태 조사를 하고 있는데요.
'지난해 국민 독서 실태 조사' 결과를 보면, 우리나라 성인들의 연간 종이책 독서율은 52.1%, 독서량은 6.1권으로 나타났습니다.
그전 조사와 비교해 독서율은 7.8% 포인트, 독서량은 2.2권 줄어든 것입니다.
독서량 6.1권은 2달에 책 1권을 겨우 읽는 수치입니다.

인터뷰> 변진수 / 경기도 성남시
“유튜브가 요즘 굉장히 중요한 매체가 되었잖아요. 유튜브를 활용하면 짧은 시간에 많은 정보를 얻을 수 있어서 좀 더 편하고요. 전보다 책을 많이 안 읽게 되는 것 같습니다.”

독서를 하지 않은 가장 큰 이유 중 하나가 '콘텐츠 이용'에 있습니다.
유튜브 등 디지털 환경의 다양화가 독서율 하락의 주요 원인이라는 겁니다.

인터뷰> 정은주 / 한우리독서문화운동본부 평생교육원장
“책을 읽지 않는 이유를 질문했을 때 시간이 없다는 말을 가장 많이 하고요. 유튜브 시청이 내가 처음에는 원하는 곳으로 들어갔다가 그 뒤에 계속 연결되는 것들을 보다 보면 시간이 부족하더라고요. 그게 어찌 보면 큰 이유 중 하나가 아닌가…”

'독서는 습관'이라고 말합니다.
공무원들에게 독서하는 습관을 키워주기 위해 노력하는 한 구청에 나왔습니다.
직원들이 점심시간을 활용해 옥상정원에서 책을 읽습니다.
용산구가 펼치는 '독서마라톤 경진대회'라는 이색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있는 겁니다.
독서 마라톤은 500쪽을 1㎞로 환산해 읽은 책만큼 뛴 거리로 인정해 주는 건데요.
책을 읽은 뒤 500자 이상의 서평을 남기면 해당 거리를 뛰었다고 인정해 주며, 42.195㎞를 완주한 직원들에게는 상품을 지급합니다.

인터뷰> 염승원 / 용산구청 행정지원과 주무관
“독서를 통하여 직원들의 심신 안정을 취하고 독서 문화도 조성하고자 독서 마라톤 경진대회를 시행하게 되었습니다.”

(영상촬영: 김창수 국민기자)

스마트폰 시대, 유튜브 같은 영상매체는 우리의 삶과 떼려야 뗄 수 없는 존재이지만 책을 통해 길러지는 사고력이 사라지는 것이 문제입니다.
깊이 있고 논리적인 사고를 기르기 위해 책을 읽어야 합니다.
바쁜 일상, 자투리 시간이라도 스마트폰 대신 책을 가까이해 보시기 바랍니다.

국민리포트 마숙종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